학술논문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문학에 나타난 <자기 상실(自己喪失)>에 대한 고찰
이용수 29
- 영문명
- Analysis of ‘Identity Crisis’ in the Literature of Chūya Nakahara: Focussing on The Song of Goat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7輯, 309~3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中原中也の第一詩集である『山羊の歌』には詩人の<自己喪失>と関連した表現がたくさん出てくる。特に生涯の恋人であった長谷川泰子を喪失した事件が単純な失恋事件ではなく、徹底した無力感の中、絶対的存在を凝視させる人生の節目であったことを念頭に入れて、この詩集を考察してみると詩人の本質と関わる多様な側面が分かってくる。特に女性関連の表現を中心に考察してみたとき、詩人にとっての衝撃であった失恋が絶対者意識を深化させたことであることが分かる。以下、詩集から表現された女性関連イメージをまとめてみる。第一、詩人は日常的詩語を対象にして否定表現の反復を隠喩的に表現することによって、女性イメージを具体化した。現実否定と諦念という過程を通して自己の内面の一定の統一性を得られるための試みであったと言える。第二、詩人は自分の永遠の恋人をこの上ないよい人として描いていて、ひいては死の世界の向こうに存在するかもしれない存在としての女性の魂を死と結びつけて形象化した。第三、すべてを包容し、受け入れる存在として理想化された女性イメージである。これは深い喪失感をもたらした衝撃的な自己喪失の事件が単純な失恋事件ではなく、深い無力感から絶対者への依存を深めるキッカケとなったことを示してくれるのである。
영문 초록
The Song of Goats, the first poem book of Chūya Nakahara, features a number of expressions relating to the ‘identity crisis’ of the poet. In particular, the poem book reveals some essential aspects of the poet, if we regard the loss of Yasuko Hasegawa, his lifetime significant other, not as merely a heartbreak incident but as an event which made him stare the absolute apathetically. Most notably, the analysis of the female-related expressions in the poem book reveals that the heartbreak incident, which greatly shocked the poet, deepened his consciousness about the absolute. In what follows, I enumerate the female-related images evoked in the poem book. Firstly, the poet reified the female images by metaphorically expressing the repetition of negative expressions about the ordinary poetry expressions. This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obtain some unification of his internal facets through the process of reality-negation and resignation. Secondly, the poet described his lifetime lover as an extremely good person, symbolising the spirit of the woman who may exist in the world beyond afterlife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death. Thirdly, he represented the image of an idealised female who accepts and tolerates everything. This suggests that the incident of identity crisis, which brought him a sense of deep loss, is not merely a heartbreak event but it made him deeply pathetic and led him to depend on the absolute
목차
1. 들어가며
2. 자기 상실 경험과 『염소의 노래(山羊の歌)』의 결실
3. 『염소의 노래(山羊の歌)』에 나타난 <자기상실>과 <여성이미지>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サ変動詞の尊敬語の使用実態: 「なさる」と「される」の比較を中心に
- 한일 소년탐정소설 연구
- 『伊勢物語』第三十五段の「あわ緒」について: 旧注から新注の『伊勢物語古意』への注解
- 규슈대학 도서관 소장 『蜻蛉日記』 판본연구
- 温度形容詞「あつい」「あたたかい」「ぬるい」の意味分析: 比喩による意味拡張を中心に
- 現代教育にみる木簡の位置づけ: 日本の義務教育に使用される社会科․歴史教科書から
- 근대한자어 「감염」의 일고찰
- ハンガリー語の形容詞述語文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との比較を中心に
- 日本語母語話者の雑談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 スピーチレベルによる使用様相と機能を中心に
- 断わり談話における日韓の文末表現: 「ノダ」「ソウダ」「ヨウダ」「カモシレナイ」「것같다」「거든」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의 도시에 투영된 언어문화자산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일본 문학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 포털 및 SNS 일본어 데이터의 감성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일본어 소비
- 코로나19로 인한 평생교육 일본어 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화상수업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のだ․わけだ」の機能に関する考察: 韓国語「것이다」との対照から
-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 대한 소고
-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문학에 나타난 <자기 상실(自己喪失)>에 대한 고찰
- 能因の「想像奥州十首」に関する試論家集での位相及び詠歌契機
-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의 영어교육
-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 독도의 강치를 둘러싼 한일 간의 인식 고찰
-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