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 소년탐정소설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Juvenile Detective Novels i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Edogawa Rampo and Kim Rae Sung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7輯, 355~3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江戸川乱歩と金來成は日本と韓国を代表する探偵小説作家である。金來成は日本留学時代、乱歩を訪れたことがあり、帰国後、手紙を通して交流もした。乱歩は<少年倶楽部>(1936)に少年探偵小説怪人二十面相を掲載し、金来成は少年に少年探偵小説白仮面(1937)を連載した。1930年代中後半、日本の児童出版文化は絶頂に達し、<少年倶楽部>は1936年に最高の全盛期を謳歌していた。反面、<少年>は1937年に朝鮮日報が子供たちのために創刊した新しい雑誌である。<少年倶楽部>と<少年>はいずれも日中戦争による検閲から自由ではなくなり、事実1936年から朝鮮総督府の介入を余儀なくされた。日本では日中戦争が勃発した1938年に検閲が始まった。要すると、乱歩と金来成は中日戦争を前にして、帝国と植民地という別の空間で少年探偵小説を書いた。乱歩の怪人二十面相は‘校外の教育’を編集方針とした少年倶楽部の趣旨に合い、金来成の白仮面も朝鮮総督府の検閲を受けた少年に符合した。その結果、二作品の最後の部分で、「闇も悲しみも戦いも時間も嫉妬もない」と希望を歌っている少年たちの歓声の中で闇と悲しみと戦いと絶望を感じざるをえない。
영문 초록
Edogawa Rampo and Kim Rae Sung are leading detective novel writers in Japan and Korea. In 1936, Rampo published a juvenile detective novel, The Fiend with Twenty Faces, in Shonen Club, and Kim Rae Sung published his first juvenile detective novel, The White Mask, in Sonyeon in 1937. From the mid 1930s to the late 1930s, the culture of publishing children’s books in Japan reached its peak, and Shonen Club was enjoying its best days in 1936. Meanwhile, Sonyeon was a new magazine founded by the Chosun Ilbo in 1937 for children. However, both Shonen Club and Soneyon were not free from censorship due to the Sino-Japanese War. To sum up, Rampo and Kim Rae Sung wrote a juvenile detective story in different places called Empire and Colony, respectively, ahead of the Sino-Japanese War. Rampo’s The Fiend with Twenty Faces was in line with the intention of Shonen Club, which used “Education Outside School” as its editorial policy, and Kim Rae Sung’s The White Mask was also in accordance with Soneyon, which was censor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a result, at the end of the two works, we feel darkness, sadness, fight, and despair in the cries of boys who sing hope, saying, “There is no darkness, no sadness, no fight, and no jealous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소년잡지를 통해 보는 소년탐정소설
3. 에도가와 란포와 김내성의 접점
4. 『괴인이십면상』과 『백가면』 비교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サ変動詞の尊敬語の使用実態: 「なさる」と「される」の比較を中心に
- 한일 소년탐정소설 연구
- 『伊勢物語』第三十五段の「あわ緒」について: 旧注から新注の『伊勢物語古意』への注解
- 규슈대학 도서관 소장 『蜻蛉日記』 판본연구
- 温度形容詞「あつい」「あたたかい」「ぬるい」の意味分析: 比喩による意味拡張を中心に
- 現代教育にみる木簡の位置づけ: 日本の義務教育に使用される社会科․歴史教科書から
- 근대한자어 「감염」의 일고찰
- ハンガリー語の形容詞述語文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との比較を中心に
- 日本語母語話者の雑談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 スピーチレベルによる使用様相と機能を中心に
- 断わり談話における日韓の文末表現: 「ノダ」「ソウダ」「ヨウダ」「カモシレナイ」「것같다」「거든」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의 도시에 투영된 언어문화자산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일본 문학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 포털 및 SNS 일본어 데이터의 감성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일본어 소비
- 코로나19로 인한 평생교육 일본어 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화상수업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のだ․わけだ」の機能に関する考察: 韓国語「것이다」との対照から
-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 대한 소고
-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문학에 나타난 <자기 상실(自己喪失)>에 대한 고찰
- 能因の「想像奥州十首」に関する試論家集での位相及び詠歌契機
-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의 영어교육
-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 독도의 강치를 둘러싼 한일 간의 인식 고찰
-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