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격수와 의사(醫師)
이용수 120
- 영문명
- Sniper and Medical Doctor : The Self-Narrative and Study Abroad in China of Lee Hwa-Rim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장영은(Jang, Youngeun)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26집, 89~11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독립 운동가 이화림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한편, 『이화림 회고록』을 ‘공부’의 관점에서 재독(再讀)하고자 했다. 1905년 1월 평양에서 태어나 군산, 청진에서 유아원 교사로 근무했던 이화림이 1930년에 상하이로 떠난 이후 95세 되던 해인 1999년까지 상하이, 광저우, 난징, 충칭, 구이린, 창사, 뤄양, 타이항산, 옌안, 베이징, 선양, 지린, 다렌, 창춘 등지로 끊임없이 ‘이동’하며 살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독립운동과 혁명에서 찾는 대신 ‘공부’로 분석하고자 했다. 실제로 이화림이 이동했던 한국과 중국의 무수한 공간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부’를 할 수 있었던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정 장소였다. 20세기 동아시아의 도시들은 외부와의 상호작용으로 각 장소의 고유적인 특성이 끊임없이 변모 중이었기 때문이다. 이화림이 90세가 넘어 더 이상의 ‘이동’을 멈추고 마지막으로 매달린 일은 회고록 작업이었다. 저격수와 테러리스트로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시작했던 이화림은 41세에 의과대학에 진학했다. 그녀는 의사가 되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지만, 중국 공산당의 정책 연구 기관인 당교에서 공부를 지속해가며 자신의 사회적 활동 반경을 꾸준히 확장시켜 나갔다. 이화림은 회고록에서 공부로 자신의 서사적 정체성을 구축했다. 이화림은 자신이 공부 할 수 있는 곳을 찾아 평생 이동한 여성이었음을 일관되게 이야기했다. 민족 해방과 혁명 등의 이념 또한 공부라는 구체적인 행위 속에서 이화림 스스로가 획득한 가치였다. 독립운동 진영 내부의 성차별과 이념 대결, 중국 공산당 내에서 조선족 여성 의사로서 겪어야 했던 난관, 한국 전쟁과 문화대혁명의 상흔 등을 이화림은 공부를 향한 의지로 매번 극복하며, 새로운 장소로의 이동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이화림의 회고록은 그녀가 공부와 노동, 이동과 개조를 자신의 삶에서 일치시키기 위해 분투한 여성 혁명가였음을 증명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ed to track the ‘moving’ paths of an independence activist Lee, Hwa-Rim, and also to read Lee, Hwa-Rim’s Memoir again in the perspective of ‘study’. Lee, Hwa-Rim’s lifetime was composed of ‘study’. Lee, Hwa-Rim who was born in Pyeongyang of January 1905, worked as a kindergarten teacher in Gunsan and Cheongjin. From the moment when leaving for Shanghai in 1930 to the year when she became 95 years old in 1999, she had to endlessly ‘move’ to different places like Shanghai, Guangzhou, Nanjing, Chongqing, Guilin, Changsha, Luoyang, Taihang Mountains, Yanan, Beijing, Shenyang, Jilin, Darren, and Changchun. Instead of finding the reason why she had to move so many times from independence movement and revolu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ason based on ‘study.’ Actually, such numerous spaces where Lee, Hwa-Rim moved were the crucial places for social interactions that enabled her to ‘study’ in various methods because those cities of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ere continuously changing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interactions with outside. When Lee, Hwa-Rim was over 90 years old, she stopped moving any more, and then concentrated her last energy on her memoir. Even when she was “older than 90 years old, she organized her life by paying attention to big events at home and abroad”. The “narrative identity’ shown in Lee, Hwa-Rim’s Memoir reveals who she is. Lee, Hwa-Rim consistently said she was a woman who ‘moved’ to find a place for ‘studying’ in her entire life. The ideologies like national liberation and revolution were also the values that Lee, Hwa-Rim acquired from concrete actions of study. Lee, Hwa-Rim’s Memoir shows who she is and what kind of person she is. Lee, Hwa-Rim was a female revolutionist who struggled hard to match study and labor, and movement and reformation with her own life.
목차
1. 옌안(延安)의 만학도
2. 중산(中山)대학의 독서회
3. 원로혁명가의 항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1세기 이미지 시론 연구
- 디지털시대의 경계불안과 포스트휴먼
- 임옥인 소설의 장소애와 헤테로토피아
- 월경과 이산, ‘재일(在日)’의 존재 방식
- 기생(寄生)과 공생(共生) 사이
- 저격수와 의사(醫師)
- 북중러 접경 초국가적 시민사회 건설의 서사성 연구
- 2010년대 동물화자 소설에 나타난 인간/비인간종(種)의 착종(錯綜)
- 권인숙의 『하나의 벽을 넘어서』에 나타난 경험과 담론의 문제
- 언어의 미달과 사회주의 친선 감정의 자기 증식
-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정립을 위하여
- 「허생전」의 지리지
- 박경리의 시세계
- 경계에 서서 바라본 인간의 삶과 ‘위대한 사랑’
- 최은희 감독 영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소외의 재현
- 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 결혼 이주 여성, ‘불온한 자’의 운명
- 1950년대 북한의 외국문학 번역 양상 연구
- “달과 별이 없어도 밝은 밤”
- 욕망·전유·균열, 1960~70년대 출판·독서계 ‘린위탕 열풍’의 이면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