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은희 감독 영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이용수 100
- 영문명
- An Analytical Study on the Films directed by Choi Eun-hee : Focusing on The Girl Raised as a Future Daughter-in-law(1965) and One-sided Love of Princess(1967)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함충범(Ham, Chung-beom)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26집, 393~42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유명 여배우 최은희 감독 영화에 관한 고찰을 시도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최은희가 연출한 영화는 <민며느리>(1965), <공주님의 짝사랑>(1967), <총각선생>(1973) 등 세 편이며,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영상 자료가 현존해 있는 1960년대작 <민며느리>와 <공주님의 짝사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그의 영화 연출 경향을 탐구하였다. 첫째, 두 작품은 모두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두었으며 전자의 경우 전근대적인 관습 속 민며느리의 힘든 삶이 신파적으로, 후자의 경우 생기발랄하던 젊은 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흥미롭게 다루어졌다. 또한 전자에서는 최은희 자신이, 후자에서는 신예 남정임이 극중 주인공 역할을 맡았으나, 홍보 과정에서 영화 배우 출신 감독으로서의 최은희의 존재감이 부각되었음은 공통된 사항이다. 그리고 <민며느리>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획득한 반면, <공주님의 짝사랑>은 그렇지 못한 결과를 낳았다. 둘째, <민며느리>는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참고 노력한다면 문제가 해결되고 보상이 따른다는 인내를 통한 위기 극복의 미담을 담고 있으며, <공주님의 짝사랑>은 경직된 사회 제도 속에서도 누구든지 의지와 용기를 발휘한다면 원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두 영화는 형식적으로도 필름의 색깔과 비율에 있어 ‘흑백-시네마스코프’를 사용함으로써 색채의 화려함보다는 파노라마적인 효과를 택하고, 역동적인 화면 구성 및 다채로운 장면 설정을 중첩적으로 활용하며, 여러 가지 편집 기법을 통해 각 장면들 간의 균형감과 리듬감을 확보하는 한편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는 점 등에서 궤를 같이하였다. 셋째, <민며느리>와 <공주님의 짝사랑>은 사극의 외양을 띤 채 그 하위 장르에 위치함과 동시에 당대에 유행하던 영화적 조류에 기대어 있기도 하였다. 그러면서도 나름의 특징을 보였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는 ‘민며느리’와 ‘공주님’을 제목 자체로 둔 이들 작품 모두에서 여성(들)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될 뿐 아니라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시기 여성상의 단면이 표출된다는 점을 들 만하다. 그런데 특정 영화의 주제는 상당 부분 감독으로부터 형성되고 위의 두 작품의 연출은 최은희였기에, 이를 통해 1960년대 중후반 시점에서 여성 감독에 의해 만들어진 한국영화 속 여성의 표상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을 계기로 지금껏 ‘배우론’에 머물러 있던 최은희의 작품 세계가 ‘감독론’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a study that attempted to research films directed by Choi Eun-hee, a famous Korean actress. There are three films directed by Eun-hee Choi: The Girl Raised as a Future Daughter-in-law(1965), One-sided Love of Princess(1967), and An Unmarried Teacher(1973).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tendency of Choi Eun-hee s filmmak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1960 s works The Daughter-in-law and The Princess Unrequited Love that film materials exist. And I came to three major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both films were set in the Joseon Dynasty, and in the former case, the difficult life of a daughter-in-law in premodern customs was dramatically treated, and in the latter case, the love story of a lively young princess was treated vividly. In the former, director Choi Eun-hee, in the latter, new actress Nam Jung-im, played the main character in the movie. However, in both works, the presence of director Choi Eun-hee, who was formerly a movie star, was highlighted in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process. In the end, in box office and criticism, the former achieved successful results, while the latter did not. Second, the former contains the story that the problem is solved and rewards come if anyone patiently does good deeds even in hardships and crises, the latter implies that even in a rigid social system, anyone can achieve what they want if they have the will and courage. In addition, both films formally use a ‘black and white-cinemascope’, choosing a panoramic effect rather than the splendor of color, utilizing a dynamic screen composition and various scene settings, and using various editing techniques to create a sense of balance and rhythm and to increase dramatic tension. Third, the two works were located in the sub-genre with the appearance of a historical drama, but also leaned against the trend of the popular film industry of the time. In addition, in both works, women appear as the main characters in common, and the story is unfolded around them. Furthermore, through this process, the image of women at the same time is expressed. Through this, we can discover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n cinema made by female directors in the mid to late 1960s. I look forward to expanding the world of Choi Eun-hee s work, which has remained in “actor theory,” into the area of “director theory.”
목차
1. 들어가며
2. 제작 배경과 영화계 환경
3. 연출 스타일의 특징적 경향
4. 작품 속 인물 표상과 시대 반영의 양상
5. 나오며
키워드
최은희
<민며느리>
<공주님의 짝사랑>
<총각선생>
여성 영화인
한국영화(사)
감독(론)
신상옥
Choi Eun-hee
The Girl Raised as a Future Daughter-in-law (Minmyeoneuri)
One-sided Love of Princess(Gongjunimui Jjaksarang)
An Unmarried Teacher (Chonggagseonsaeng)
A female filmmaker
Korean Cinema (History)
Director/Directing (Theory)
Shin Sang-ok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1세기 이미지 시론 연구
- 디지털시대의 경계불안과 포스트휴먼
- 임옥인 소설의 장소애와 헤테로토피아
- 월경과 이산, ‘재일(在日)’의 존재 방식
- 기생(寄生)과 공생(共生) 사이
- 저격수와 의사(醫師)
- 북중러 접경 초국가적 시민사회 건설의 서사성 연구
- 2010년대 동물화자 소설에 나타난 인간/비인간종(種)의 착종(錯綜)
- 권인숙의 『하나의 벽을 넘어서』에 나타난 경험과 담론의 문제
- 언어의 미달과 사회주의 친선 감정의 자기 증식
-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정립을 위하여
- 「허생전」의 지리지
- 박경리의 시세계
- 경계에 서서 바라본 인간의 삶과 ‘위대한 사랑’
- 최은희 감독 영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소외의 재현
- 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 결혼 이주 여성, ‘불온한 자’의 운명
- 1950년대 북한의 외국문학 번역 양상 연구
- “달과 별이 없어도 밝은 밤”
- 욕망·전유·균열, 1960~70년대 출판·독서계 ‘린위탕 열풍’의 이면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