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시대의 경계불안과 포스트휴먼
이용수 369
- 영문명
- The Border Anxiety in the Digital Age and Posthuman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이양숙(Lee, Yangsook)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26집, 607~64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분과 학문 간의 경계허물기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이처럼 각 분과학문에서 제기되는 탈경계적 사유는 과학기술을 활용하면서도 과학기술적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상상력과 위기에 대한 대안 모색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문학에서 과학적 상상력과 고도기술사회의 명암을 다룬 작품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상황에 부응한다. 최근의 과학소설은 이처럼 인간과 사물의 결합에 대한 이해가 인간에 대한 기존의 정의와 인간중심적 패러다임을 대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은 기존의 관점에서는 생각할 수도 없었던 다양한 문제가 과학 소설적 관점에서 포착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윤이형의 「결투」(2011)와 「수아」(2019)를 중심으로 디지털시대의 다중 자아의 문제를 다루었다. 디지털 시대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정보통신기술로 시공간을 초월한 초연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초연결사회란 인간과 인간(P2P)은 물론 인간과 사물(P2M), 사물과 사물(M2M)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시 접속하고 상호작용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그러나 초연결의 결과가 항상 긍정적인 것이 될 수만은 없다. 서로 상충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세계는 한 개인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정체성과 가변적인 역할들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자기 자신은 물론 외부세계와 타자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을 수반하는 일이다. 「결투」와 「수아」는 여성주인공들이 자신들의 도플갱어를 마주하는 데서 빚어지는 사건을 다룬다. 이들과의 마주침은 피할 수 없으며 결코 행복한 결말을 맺을 수도 없다. 그들 사이에는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죽어야 하는 현실법칙이 존재하거나(「결투」) 자신의 억압된 무의식이 공공연히 까발려지는 당혹스러운 상황(「수아」)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두 작품은 죽음과 삶, 원본과 복제, 분열과 해체 등 포스트모더니즘적 문제의식과 디지털 시대의 경계불안, 인공지능로봇과의 공존이라는 과학소설의 문제의식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결투」와 「수아」는 이전에는 경험할 수 없었던 낯선 세계에 내던져진 주인공들이 결코 이전으로는 돌아갈 수 없는 선택에 내몰리는 상황을 다룸으로써 인간이 인간으로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roblem of multiple egos in the digital age, focusing on Yoon s “Dueling” (2011) and “Su-a” (2019).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in the digital age, hyper-connection beyond time and space has become possible. A hyper-connected society refers to a society in which humans and humans (P2P) as well as humans and things (P2M), and things and things (M2M) are constantly connected and interacted through a network. However, the result of hyper-connection cannot always be positive. Diverse experience worlds that can conflict with each other can confuse an individual, and constantly pursuing change in various identities and variable roles entails constant questioning not only of oneself but also of the outside world and the other. “Dueling” and “Su-a” deal with the incidents caused by female protagonists confronting their Doppelganger. Confrontation with them is inevitable and there is never a happy ending. One of the two is because there is a law of reality that must be killed (“Dueling”) or an embarrassing situation (“Sua”) in which their suppressed unconsciousness is openly exposed. As such, the two works simultaneously show the consciousness of postmodern problems such as death and life, originals and reproduction, division and deconstruction, and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science fiction such as border anxiety in the digital age and coexist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Dueling” and “Su-a” explore the conditions under which humans can exist as humans by dealing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otagonists thrown into an unfamiliar world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are driven to choices that they can never return to.
목차
1. 서론
2. 비분열자와 분리체의 사회: 결투
3. 커스터마이즈드 휴먼과 커스터마이징 로봇: 수아
4. 여성 분리체들과 운하임리히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1세기 이미지 시론 연구
- 디지털시대의 경계불안과 포스트휴먼
- 임옥인 소설의 장소애와 헤테로토피아
- 월경과 이산, ‘재일(在日)’의 존재 방식
- 기생(寄生)과 공생(共生) 사이
- 저격수와 의사(醫師)
- 북중러 접경 초국가적 시민사회 건설의 서사성 연구
- 2010년대 동물화자 소설에 나타난 인간/비인간종(種)의 착종(錯綜)
- 권인숙의 『하나의 벽을 넘어서』에 나타난 경험과 담론의 문제
- 언어의 미달과 사회주의 친선 감정의 자기 증식
-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정립을 위하여
- 「허생전」의 지리지
- 박경리의 시세계
- 경계에 서서 바라본 인간의 삶과 ‘위대한 사랑’
- 최은희 감독 영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소외의 재현
- 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 결혼 이주 여성, ‘불온한 자’의 운명
- 1950년대 북한의 외국문학 번역 양상 연구
- “달과 별이 없어도 밝은 밤”
- 욕망·전유·균열, 1960~70년대 출판·독서계 ‘린위탕 열풍’의 이면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