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이용수 145
- 영문명
- The May 18 and the Mnemonics of Hwang Seokyoung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이철호(Lee, Chul-ho)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26집, 145~17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래된 정원』이 보여주는 후일담의 서사는 5·18을 역사적 기원으로 형상화하는 데에 집중된다. 하지만 그것은 학살 자체를 재현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한편, 여성을 남성의 대리자로 설정하는 서사적 전략을 통해 구현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오래된 정원』의 진정한 독해는 갈뫼와 광주를 겹쳐서 읽음으로써, 즉 그 두 장소를 유토피아의 현현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 황석영은 갈뫼와 광주, 사랑과 혁명을 유토피아의 언어로 윤색함으로써 그곳을 유력한 역사적 기원으로 낭만화한다. 1970-80년대의 민중론이 도달한 문학적 재현의 한 절정이 황석영의 『장길산』이라고 한다면, 『오래된 정원」은 민중이 사라지고 유토피아만 남아버린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novel focused on representating The May 18 the historical orgin of democratic movements in Korea. However, it is problematic to exclud massacre itself from the object of represetation and to make women a man’s proxy. A true reading of this novel can be possible by overlapping Galmae and Gwangju, especially by reinterpret them as the manifestation of utopia. In sum, Hwang Seokyoung mythicized Galmae and Gwangju as the historical origin by embellishing the story of love and revolution with Utopian languages. If his celebrated epic novel Janggilsan is the Important achievement of Minjung discourse in the 1970s and 1980s, Minjung disappear and only utopia remains in Old Garden.
목차
1. ‘재현 (불)가능한’ 학살
2. 학살 이후 그/그녀의 삶
3. ‘정지된 섬광’ 혹은 오래된 유토피아
4. 황석영의 기억술, 유토피아 광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1세기 이미지 시론 연구
- 디지털시대의 경계불안과 포스트휴먼
- 임옥인 소설의 장소애와 헤테로토피아
- 월경과 이산, ‘재일(在日)’의 존재 방식
- 기생(寄生)과 공생(共生) 사이
- 저격수와 의사(醫師)
- 북중러 접경 초국가적 시민사회 건설의 서사성 연구
- 2010년대 동물화자 소설에 나타난 인간/비인간종(種)의 착종(錯綜)
- 권인숙의 『하나의 벽을 넘어서』에 나타난 경험과 담론의 문제
- 언어의 미달과 사회주의 친선 감정의 자기 증식
-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정립을 위하여
- 「허생전」의 지리지
- 박경리의 시세계
- 경계에 서서 바라본 인간의 삶과 ‘위대한 사랑’
- 최은희 감독 영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소외의 재현
- 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 결혼 이주 여성, ‘불온한 자’의 운명
- 1950년대 북한의 외국문학 번역 양상 연구
- “달과 별이 없어도 밝은 밤”
- 욕망·전유·균열, 1960~70년대 출판·독서계 ‘린위탕 열풍’의 이면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