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이용수  145

영문명
The May 18 and the Mnemonics of Hwang Seokyoung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이철호(Lee, Chul-ho)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6집, 145~17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래된 정원』이 보여주는 후일담의 서사는 5·18을 역사적 기원으로 형상화하는 데에 집중된다. 하지만 그것은 학살 자체를 재현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한편, 여성을 남성의 대리자로 설정하는 서사적 전략을 통해 구현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오래된 정원』의 진정한 독해는 갈뫼와 광주를 겹쳐서 읽음으로써, 즉 그 두 장소를 유토피아의 현현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 황석영은 갈뫼와 광주, 사랑과 혁명을 유토피아의 언어로 윤색함으로써 그곳을 유력한 역사적 기원으로 낭만화한다. 1970-80년대의 민중론이 도달한 문학적 재현의 한 절정이 황석영의 『장길산』이라고 한다면, 『오래된 정원」은 민중이 사라지고 유토피아만 남아버린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novel focused on representating The May 18 the historical orgin of democratic movements in Korea. However, it is problematic to exclud massacre itself from the object of represetation and to make women a man’s proxy. A true reading of this novel can be possible by overlapping Galmae and Gwangju, especially by reinterpret them as the manifestation of utopia. In sum, Hwang Seokyoung mythicized Galmae and Gwangju as the historical origin by embellishing the story of love and revolution with Utopian languages. If his celebrated epic novel Janggilsan is the Important achievement of Minjung discourse in the 1970s and 1980s, Minjung disappear and only utopia remains in Old Garden.

목차

1. ‘재현 (불)가능한’ 학살
2. 학살 이후 그/그녀의 삶
3. ‘정지된 섬광’ 혹은 오래된 유토피아
4. 황석영의 기억술, 유토피아 광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호(Lee, Chul-ho). (2020).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구보학보, 26 , 145-172

MLA

이철호(Lee, Chul-ho). "5·18과 황석영의 기억술." 구보학보, 26.(2020): 14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