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소규모학교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이용수 774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nterest and Performance Level of Sm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Joint-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수(Kim Hyun Su) 이재창(Lee Jae Ch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899~9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소규모 학교 증가는 소규모학교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켰다. 통폐합의 대상으로 보았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소규모학교를 가치 있는 대상으로 여기고 교육의 질적 확보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유지ㆍ존치 시킬 수 있도록 시선을 전환한 것이다. 교육의 질적 확보는 소규모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가능하며, 그 중 공동교육과정은 하나의 방법으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다만, 교육과정의 운영의 주체는 교사이기에 교사가 교육과정을 대하는 태도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모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CBAM 모형을 통하여 파악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규모학교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에 해당하는 학교 교사 7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1일부터 2019 10월 2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관심도는 전반적으로 ‘비판적 비사용자’의 형태를 보인다. 둘째, 배경변인(성별, 담당학년, 교직경력, 연수유무)에 따른 공동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셋째,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은 ‘기계적 실행수준’이 가장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performance level of sm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the joint-curriculum. The increase in small schools following a decline in school-age population has changed the perception of small schools.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what has been seen as an object of integration and closure, it has shifted their eyes so that people can see small schools as valuable objects and maintain and retain them in a direction to secur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can be secured through various curriculum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schools. Among them, the joint-curriculum is worth one way. However, since the teacher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attitude toward the curriculum and how the curriculum is implemented. Thi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BAM model.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interest and performance level of teachers in the small school co-curricular curriculum,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73 corresponding school teacher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interests of teachers who run the joint-curriculum shows a form of ‘critical non-users’.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s interest in operating the joint-curriculum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gender, grade level, teaching career, and training). Third, the ‘mechanical execution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ecution level for the joint-curriculu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시간압박감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 간호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과 돌봄
-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치매두려움과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PISA2015에 나타난 한국 고등학생의 수준별 물리성취도와 물리 주제 흥미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한 공격성과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행동 관계에서 자기조절력과 또래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분석
- 저출산 문제에 대한 윤리적 대안 모색
- 우리나라 초중고 학교급별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어떠한가?
- 체조수업 기피현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비판적 인식
- 초ㆍ중등학생의 달의 모양, 환경, 위상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반성에 관한 연구
- 부ㆍ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사회과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지식의 구성 과정 탐색
- 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원장의 전이지원이 현직교육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 탄력성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 접미사 회피 전략 사용 양상 분석
- 유아 지역사회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유아 연극놀이를 위한 교사의 역할 탐색
- 유아기 또래 놀이행동 및 학업능력이 초등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여가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문화예술 활동 경험 탐색
- 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의 대인관계 문제와 교사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 효과
- 아동양육시설 유아를 위한 자연물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 북한 초급중학교 영어교과서의 2013 개정 전ㆍ후 어휘 비교
-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생, 부모 및 교사가 인지한 게임 몰입 과정 분석 연구
- 다문화가정자녀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갈등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한국의 영유아기 능력에 관한 인식의 변천연구
- 글로벌 기업의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에서 역동적 평가 활용
-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의 실습인식과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과의 관계연구
- 아침 10분을 활용한 철자 교수가 일반성취 및 철자쓰기부진 초등학생의 철자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소규모학교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 변화경험 탐색
- 미국 데이턴 대학교의 중핵교육과정과 루브릭을 활용한 역량 평가 시스템 운영 사례 연구
- 지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가족의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 성인학습 촉진을 위한 다중지능이론의 적용가능성 탐색
-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친구 및 교사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
- 디자인씽킹 기반 창의융합프로젝트 사례연구
- 구성주의 상담 접근 방식의 비예약 말하기 상담에 관한 연구
- 가정교과에 개발ㆍ적용한 PBL수업이 고등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미치는 효과
- STEAM 교육(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평화역량 함양을 위한 게임 활용 도덕과 수업
- ‘리좀 지도그리기’를 통한 유아 미술표현 연구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 실습경험
-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연구의 사적 검토
- 중학생의 자율활동경험이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교수 의지 사례 연구
- 교사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 교차문화 아이들(CCKs: Cross-Culture Kids)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보호요인의 맥락적 이해 및 효과적 상담전략
- 부모의 설명제공 및 과잉간섭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학업태도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교권 침해 경험 및 대응 요구 분석
-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국내 동향 연구
- 공격성 구성개념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학생 정보 유형에 따른 국어교사의 쓰기 채점의 차이
- 유아 STEAM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발표 교육에서 비언어적 요소 교수 방안
-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수용과 인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4 Contents
- 马克思“世界文学”思想:生成审思、意涵揭橥与启示探赜
- 毛泽东建构中国共产党形象的核心要义、历史经验及现实启示——重读《〈共产党人〉发刊词》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