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학습 촉진을 위한 다중지능이론의 적용가능성 탐색
이용수 2,017
- 영문명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to Adult Learning: Based on discussions of Learning Motiv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정신(Im Joungshin) 윤창국(Youn Changg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193~2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동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다중지능이론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문헌연구를 통해 다양한 동기이론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후 평생교육의 영역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대한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이해하고 촉진시키기 위한 이론적인 틀로서 다중지능이론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는 주로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학령기 아동들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온 경향이 있다. 반면에 평생교육 분야에서의 성인학습자에 대한 연구들은 학습동기와 관련된 명확한 개념적 정의나 구분을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기 보다는 주로 교육 참여동기를 학습동기와 혼용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동기’, ‘프로그램 참여동기’, ‘학습 참여동기’의 개념적 구분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각각의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인간의 내재된 성향을 기초로 다양한 잠재력을 설명하고 있는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이 내재적 학습동기의 개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성인학습의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의 ‘일상성’과 ‘지속성’을 강조하는 평생교육 영역에서 평생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론적ㆍ실천적 전략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exploring the concept of learning motivation that is inherent in a human being to achieve the learning society. To do so, researchers critically review diverse discussions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tudies on adult learners’ learning motivations. As a result, most discussions on learning motivations tend to focus on school aged children. Also, many studies in the field of lifelong learning have used the concept of learning motivation has been used mixed with one of participant motiva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crete definition of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this review, this study claims that the concepts of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nt motivation’, and ‘learning participant motiv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with one another. In addition that, this study review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to adult learners and argues that Gardner’s discussion of multiple intelligence could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es.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find the way to participate and sustain learning through understanding adult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학습동기에 관한 다양한 관점들
Ⅲ.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Ⅳ. 성인의 학습동기와 다중지능이론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시간압박감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 간호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과 돌봄
-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치매두려움과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PISA2015에 나타난 한국 고등학생의 수준별 물리성취도와 물리 주제 흥미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한 공격성과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행동 관계에서 자기조절력과 또래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분석
- 저출산 문제에 대한 윤리적 대안 모색
- 우리나라 초중고 학교급별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어떠한가?
- 체조수업 기피현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비판적 인식
- 초ㆍ중등학생의 달의 모양, 환경, 위상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반성에 관한 연구
- 부ㆍ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사회과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지식의 구성 과정 탐색
- 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원장의 전이지원이 현직교육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 탄력성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 접미사 회피 전략 사용 양상 분석
- 유아 지역사회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유아 연극놀이를 위한 교사의 역할 탐색
- 유아기 또래 놀이행동 및 학업능력이 초등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여가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문화예술 활동 경험 탐색
- 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의 대인관계 문제와 교사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 효과
- 아동양육시설 유아를 위한 자연물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 북한 초급중학교 영어교과서의 2013 개정 전ㆍ후 어휘 비교
-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생, 부모 및 교사가 인지한 게임 몰입 과정 분석 연구
- 다문화가정자녀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갈등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한국의 영유아기 능력에 관한 인식의 변천연구
- 글로벌 기업의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에서 역동적 평가 활용
-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의 실습인식과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과의 관계연구
- 아침 10분을 활용한 철자 교수가 일반성취 및 철자쓰기부진 초등학생의 철자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소규모학교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 변화경험 탐색
- 미국 데이턴 대학교의 중핵교육과정과 루브릭을 활용한 역량 평가 시스템 운영 사례 연구
- 지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가족의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 성인학습 촉진을 위한 다중지능이론의 적용가능성 탐색
-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친구 및 교사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
- 디자인씽킹 기반 창의융합프로젝트 사례연구
- 구성주의 상담 접근 방식의 비예약 말하기 상담에 관한 연구
- 가정교과에 개발ㆍ적용한 PBL수업이 고등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미치는 효과
- STEAM 교육(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평화역량 함양을 위한 게임 활용 도덕과 수업
- ‘리좀 지도그리기’를 통한 유아 미술표현 연구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 실습경험
-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연구의 사적 검토
- 중학생의 자율활동경험이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교수 의지 사례 연구
- 교사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 교차문화 아이들(CCKs: Cross-Culture Kids)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보호요인의 맥락적 이해 및 효과적 상담전략
- 부모의 설명제공 및 과잉간섭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학업태도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교권 침해 경험 및 대응 요구 분석
-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국내 동향 연구
- 공격성 구성개념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학생 정보 유형에 따른 국어교사의 쓰기 채점의 차이
- 유아 STEAM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발표 교육에서 비언어적 요소 교수 방안
-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수용과 인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4 Contents
- 马克思“世界文学”思想:生成审思、意涵揭橥与启示探赜
- 毛泽东建构中国共产党形象的核心要义、历史经验及现实启示——重读《〈共产党人〉发刊词》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