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sm and Protestantism in the 1920s Korean Socie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최영근(Young Keun Choi)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1집(2018년 여름호), 289~32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0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20년대 사회주의와 기독교의 관계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일제강점기 사회 현실이라는 외적인 상황 가운데 민족주의에 대응하는 사회주의와 기독교의 내적 논리를 통해 분석하였다. 상호 대립적인 사회주의와 기독교는 1920년대 중반에 민족 공동체의 회복과 독립을 위한 협력과 연대를 추구하는 민족 협동 전선의 맥락에서 민족주의의 매개를 통해 포용적인 입장을 취하였으나, 1920년 후반 이후 민족 운동 세력이 분열하고 사회주의 이념이 교조화되면서 좌우대립이 심화될 때 사회주의의 반기독교 운동과 기독교의 반공주의가 격화되었다.
사회주의에 대한 기독교의 인식과 대응은 신학적 입장과 민족주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은 정통주의와 보수적 신학에 근거하여 기독교 신앙을 변호하고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신학적 비판의 성격을 띠었고, 민족주의와 관련성은 적었다. 사회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은 사회복음주의와 기독교 사회주의에 기반하여 사회 개조 운동을 전개하였고, 실력 양성을 통해 민족의 독립과 회복을 추구하는 문화 민족 운동과 연결되었다. 사회주의를 수용하는 입장은 사회주의 이념으로 기독교를 새롭게 이해하고 기독교의 가치를 사회주의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민중이 주체가 되는 급진적 민족운동과 연결되었다. 이로 보건대, 1920년대 기독교와 사회주의 관계를 매개하고 사회적 실천과 기독교 신앙을 매개하는 주요 변수는 민족주의였다.
1920년대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한국 사회에서 이념 대립을 극복하고 화해와 평화를 이루는 교회의 역할을 성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a wide spectrum in the Korean Protestant approach to Socialism in the 1920s under Japanese rule.. Nationalism in an important factor in this spectrum. While Socialism and Protestantism were in competitionthey did come to seek common ground for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pursuing a united front mediated by nationalism in the mid 1920s. However, both competing forces became more hostile in the late 1920s after the collapse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as nationalism leaned toward conservatism and communism radicalized.
Theological tendencies and nationalist positions informed the ways in which the different Protestant groups understood and responded to socialism. The theologically conservative approach was aloof from nationalism and criticized socialism endangering the Christian faith and Korean cultural values. Accepting the Socialist criticism, the theological moderates from Social Gospel and Christian Socialism, most of whom affiliated with cultural nationalism, saw social Christianity as a way for the church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Korean society. The progressive group integrated socialism into Protestantism and pursued a radical nationalism for the sake of the Proletariat reinterpreting Christian teachings and practic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ism.
목차
Ⅰ. 들어가며
Ⅱ. 1920년대 사회주의 등장과 국내 전개 과정
Ⅲ. 사회주의와 기독교 관계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한글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후기
- 그리스도의 계절 - 누가복음 15:11-32
- 테레사 모건의 『로마의 신뢰와 기독교적 믿음』
- 1920년대 일제강점기 한국 사회에서 사회주의와 기독교 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 개신교의 개혁을 위한 교육 목적에 관한 연구
- 성경적이며 실용주의적 개혁가 이원영 목사
- 위험 사회의 사회적 특징과 기독교적 성찰
- 국가는 강도 떼인가 필요악인가
- 꿈을 현실로 산 신앙의 선구 문익환 목사
- 늦봄 문익환 목사의 신학적 텍스트와 콘텍스트
- 실낙원에서 복낙원으로의 귀환
- 목회자 성범죄에 관한 체계적 사고
- 문익환의 통일 사상의 주요 쟁점과 현재적 의의
- 독일 민족사회주의자 알프레드 로젠베르크의 세계관 분석
- 첫 여성 법조인 이태영의 시대 인식 확장과 자전적 통찰
- 폭력의 기억으로서의 성찬
- 이중직 목회시대를 대비하는 소규모 신학대학의 커리큘럼 개발과 생존 전략 연구
- 현대 한국 교회(1990~현재)의 경제 사회적 성격과 현상, 그 원인 및 개선 방안의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