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ai-Young Lee and Her Journey for Gender Equality and Social Justice in Korea : Christianity and Constitution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하희정(Hee Jung Ha)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1집(2018년 여름호), 459~49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평생을 차별과 편견에 맞서며 ‘만인 평등’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애썼던 여성 법조인 이태영의 삶과 신념, 시대인식을 들여다본다.
이태영의 삶은 크게 4시기로 구분되며, 기독교를 통해 배운 만인 평등 사상이 삶 전체를 관통한다. 성장기 성차별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갖게했고, 해방 후 첫 여성 법조인으로서 여성의 법적 권리를 위한 여성 운동에 나서게 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의 고통은 가정의 고통으로 이어지고 사회문제로 연결된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다. 동시에 불의한 권력이 지배하는 사회의 억압구조 안에서는 만인 평등을 보장한 헌법이 제대로 작동할 수 없으며 어떤 개인도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온전히 보장받지 못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는 민주화 운동의 합류로 이어졌고,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도록 만들었다. 한마디로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게 태어난다는 기독교의 가르침을 ‘법’이라는 ‘사회적 도구’를 통해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 여성 법조인 이태영이 선택한 삶이었다. 동시에 법조인이었지만 법조인에 머무르지 않고, 여성 운동가였지만 여성 운동에 머무르지 않고, 기독교인이었지만 기독교의 틀에 갇히지 않았던 열린 신념은 그가 ‘만인 평등’이라는 인류의 보편가치에 얼마나 충실했는지 잘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ai-Young Lee’s Christian inspiration and her pioneering journey for gender equality and social justice in Korea. Her life and journey show the trajectory of the Korean civil movement, especially for women and suffering people.
Her life had four stages. The Christian inspiration for human dignity and gender equality penetrated her entire life. In her young age, it made her pay attention t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lthough no woman was allowed to study law, she had a dream to be a good lawyer in order to fulfill gender equality and human dign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r dream came true after Japan’s defeat in 1945. As the first female lawyer Tai- Young Lee started revising the Family Law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that stipulated equality for all. This journey lasted for 40 years in support of Christian groups and women’s networks. In this process, she became convinced that family was a basis not only for gender equality and women’s rights but also for better society and world peace. Simultaneously, she realized that the women’s movement could not be separated the from human rights movement under the years of brutal dictatorship. This was the reason why she jumped into the democracy movement in solidarity with the progressive religious leaders who were open-minded to ecumenical movements for freedom and peace.
Throughout her entire life, Tai-Young Lee was faithful to the Christian belief that all were equal to God. She dedicated her enthusiasm and energy to the restoration of human dignity and social integration. For her law was a social tool to fulfill the commitment for equality and dignity that was given to human beings by God. Her belief empowered soci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for suffering people. This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progress of civil society in Kore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태영의 삶과 시대를 향한 질문들
Ⅲ. 나오는 말
참고문헌
한글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후기
- 그리스도의 계절 - 누가복음 15:11-32
- 테레사 모건의 『로마의 신뢰와 기독교적 믿음』
- 1920년대 일제강점기 한국 사회에서 사회주의와 기독교 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 개신교의 개혁을 위한 교육 목적에 관한 연구
- 성경적이며 실용주의적 개혁가 이원영 목사
- 위험 사회의 사회적 특징과 기독교적 성찰
- 국가는 강도 떼인가 필요악인가
- 꿈을 현실로 산 신앙의 선구 문익환 목사
- 늦봄 문익환 목사의 신학적 텍스트와 콘텍스트
- 실낙원에서 복낙원으로의 귀환
- 목회자 성범죄에 관한 체계적 사고
- 문익환의 통일 사상의 주요 쟁점과 현재적 의의
- 독일 민족사회주의자 알프레드 로젠베르크의 세계관 분석
- 첫 여성 법조인 이태영의 시대 인식 확장과 자전적 통찰
- 폭력의 기억으로서의 성찬
- 이중직 목회시대를 대비하는 소규모 신학대학의 커리큘럼 개발과 생존 전략 연구
- 현대 한국 교회(1990~현재)의 경제 사회적 성격과 현상, 그 원인 및 개선 방안의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