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Nazi Alfred Rosenberg’s Worldview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백용기(Yong Gi Bai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1집(2018년 여름호), 401~4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독일 제3제국의 나치주의자 로젠베르크의 세계관을 분석한 글이다. 특히 그의 『20세기 신화』를 중심으로, 역사관으로서 종족 투쟁과 종족 전쟁을, 나치 교회 정책 논쟁과 개신교 내의 나치 세력인 독일적 그리스도인과의 갈등을, 마지막으로 『20세기 신화』가 개신교에 일으킨 반응과 고백교회의 『20세기 신화』에 대한 비판을 통해 로젠베르크 세계관을 분석한다.
로젠베르크에 의하면 세계관이라는 것은 하나의 “정해진 관점”(bestimmte Haltung)이다. 그것은 인간의 관점이며 영적(seelisch)이고 특질(Charakter)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인간특질과 영이 특별한 피와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나치 세계관은 구체적 인간성, 인간특질, 인간역사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로젠베르크는 기독교신조가 삶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모든 행위의 중심에 있는 기독교신조와 도그마로부터 출발하여 삶의 전 영역에 대한 사상들이 이루어진다. 나치운동의 세계관은 이제 교회가 미래전망이 없기 때문에 이를 대치해야 한다.
로젠베르크는 새로운 세계가 탄생했으므로, 세계사를 새로 써야한다고 한다. 그의 세계관은 종족주의 세계관이며, 그의 역사관은 종족과 종족의 투쟁사이다. 그의 『20세기 신화』는 자신의 정치적 세계관적 희망을 잘 보여준다. 그에 의하면 역사는 더 이상 계급 투쟁이 아니며, 교회도그마와 도그마의 싸움도 아니다, 오히려 피와 피, 종족과 종족, 민족과 민족의 싸움이며, 영적 가치에 대한 영적 가치의 싸움이다. 그의 세계관은 “종족 투쟁으로서의 역사관”이다.
영문 초록
The thesis of this paper analyzes Alfred Rosenberg’s worldview which is the ideology of German Third Reich. Especially from the center of his “20th century mythology”, racial struggle and war were analyzed by his historical thought. This paper analyzesRosenberg’s worldview through the Nazi party leaders’ worldview and the church policy debate within the Nazi party. Particularly, it inquires into the conflict within German Christians who were the supporters inside Hitler’s Protestantism. Lastly, it analyzes Rosenberg’s worldview through its impact on Protestantism with regards to the idea of the “20th century mythology”.
According to Rosenberg, the worldview is one fixed point of view (bestimmte Haltung). This is from human point of view about soul (seelisch) and about character (charakterisch). It is a human’s character and spirit combined with special blood. This is primary and other ethnic or outside doctrine and tradition is secondary. Therefore, the Nazi’s worldview should begin from definite humanity, human character and human history.
Rosenberg pays attention to Christian creed which contains all spheres of life. It starts from the creed of Christianity at the center of all deeds and dogma whichconsist of the entire fields of life. The worldview by Nazism needs replacement for the lack of a future outlook from church.
Rosenberg claims to write a new world history on account of new world is born. His worldview is based on racism, and his view of history is race and the struggle of race. His political view is neither the class struggle nor a fight between the church dogma and dogma anymore. It’s rather the battle between the blood and blood, nation and nation, race and race, and spiritual value and spiritual value. His view of the world a history of race struggle.
목차
들어가는 글
Ⅰ. 로젠베르크의 종족 투쟁 역사관
Ⅱ. 나치의 교회 정책 논쟁
Ⅲ. 고백교회의 “20세기 신화”에 대한 비판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한글초록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후기
- 그리스도의 계절 - 누가복음 15:11-32
- 테레사 모건의 『로마의 신뢰와 기독교적 믿음』
- 1920년대 일제강점기 한국 사회에서 사회주의와 기독교 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 개신교의 개혁을 위한 교육 목적에 관한 연구
- 성경적이며 실용주의적 개혁가 이원영 목사
- 위험 사회의 사회적 특징과 기독교적 성찰
- 국가는 강도 떼인가 필요악인가
- 꿈을 현실로 산 신앙의 선구 문익환 목사
- 늦봄 문익환 목사의 신학적 텍스트와 콘텍스트
- 실낙원에서 복낙원으로의 귀환
- 목회자 성범죄에 관한 체계적 사고
- 문익환의 통일 사상의 주요 쟁점과 현재적 의의
- 독일 민족사회주의자 알프레드 로젠베르크의 세계관 분석
- 첫 여성 법조인 이태영의 시대 인식 확장과 자전적 통찰
- 폭력의 기억으로서의 성찬
- 이중직 목회시대를 대비하는 소규모 신학대학의 커리큘럼 개발과 생존 전략 연구
- 현대 한국 교회(1990~현재)의 경제 사회적 성격과 현상, 그 원인 및 개선 방안의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