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의 생성ž향유와 지역성

이용수  460

영문명
Formation, enjoyment of Pansori and regionalit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최혜진(Choi Hye ji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9輯, 217~2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판소리 생성과 향유의 문제를 지역을 중심으로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판소리의 형성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서사와 음악의 결합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지역성의 문제는 판소리를 또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단서가 된다. 본고에서는 판소리의 생성, 향유에 있어서 전승되는 판소리 다섯 바탕 서사에 나타난 지역과그의미를거시적인 차원에서살펴보았으며, 실창된 판소리 작품들과관련된지역의 문제를 살펴서 판소리 전승에 지역이 연관되는 바가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판소리 음악과 유파의 분화 발전에 지역적 연관과 의미가 무엇인지도 살폈다. 판소리는 사설과음악으로 이루어지고, 일차적으로는 사설이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이야기가 전승이 되는 지역과 그 서사의 지역적 기반이 무엇인지를 따져보아야 한다. 그러한 면에서 판소리는 각 지역에 전승되던 이야기들이 그 지역의 음악에 기반을 두고 출발하였을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작품 내에 드러나는 서사적 기반 중 전라도 혹은 가상의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이 전승된 것은 판소리 음악이 전라도로 집중되고 명창들이 길러지던 지역이 호남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상도나 이북지역, 제주도, 강릉, 안동 등 다양한 지역배경을 가지고 있던 판소리들이 점차 탈락하게 된 것이다. 판소리는 지역의예술로 생성되었지만, 지역을 넘어서는 보편적 인간애와 진보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연행됨으로써 세계예술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미래의 판소리가 지속적으로 창작, 향유되기 위하여는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과 지리 환경적인 요소를 어떻게 담아낼 지를 고민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formation, enjoyment of Pansori focusing on region. As Pansori was formed by combination of narration and music based on region, the regionality is a clue to approach Pansori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is thesis examined the region and definition consideering the formation and enjoyment of Pansori found in 5 Pansori transcriptions passed down frommacroscopic point of view, and the regionality regarding the actually sung Pansori piece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Pansori transmission and region. Also, the study examined the regional relation and definition of Pansori music and division of Pansori schools. Pansori is composed of narration and music, among which the narration is the basis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gional basis of narration and the region where story is passed down. this indicates Pansori originates from the story passed down to each region and music based on the region. The reason that the Pansori based on Cheollado or hypothetical space among the Pansori that reveals the narrative basis is because the Pansori is concentrated in Cheollado and Honam region was the place where good Pansori performers were trained. Therefore, Pansori with various regional background such as Gyeongsangdo, North Korea, Jeju Island, Kangneung, Andong gradually disappeared. Even though Pansori was formed as the local art, it contains universal humanity, progressive value of world in its basis and became the global from of art. In order to create and enjoy the Pansori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how to contain the elements of geograph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 of Korea.

목차

1. 머리말
2. 판소리 서사의 전승과 지역 공간
3. 판소리 실창과 지역 기반
4. 판소리 유파의 분화와 지역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진(Choi Hye jin). (2016).판소리의 생성ž향유와 지역성. 어문연구, 89 (89), 217-240

MLA

최혜진(Choi Hye jin). "판소리의 생성ž향유와 지역성." 어문연구, 89.89(2016): 217-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