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고찰과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이용수 854
- 영문명
- A Study on Critical Discourses abou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Meanings for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고홍규(Koh Hong kyu)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9券 1號, 109~13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고찰하여 보고 다문화 미술교육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서 근래에 제기되고 있는 비판적 시각들을 종합하여 보고 그 의미와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한국의 다문화 담론은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에서 서구 중심의 담론이 주를 이루며 한국 사회의 독특한 특성과 폭넓은 다문화 스펙트럼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다문화 정책이 주로 결혼이주자와 그 가족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지며 실질적으로 동화주의적 접근을 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차이를 인정하는 차원에서 다문화 논의가 이루어져 인권과 평등, 사회적 정의의 실현이라는 다문화 담론의 궁극적인 목표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점이 제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판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의 다문화 미술교육 논의에 있어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한국 사회의 특성과 체질에 맞는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내재된 동화주의적 관점의 탈피를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목적과 교육대상, 내용을 명확히 하여야 하고, 다문화 미술교육의 궁극적 가치 실현을 위해 비판적 다문화주의를 바탕으로 한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그동안 한국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는 1990년대 이후로 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연구와 교육적 실천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종합하여 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그동안 다문화 미술교육자들의 노력이 현재 어떠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지, 그리고 또 어떠한 방향으로 더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조언이 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 discourses abou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gure out its meanings for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at, I examined numerous research on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their critical features. Consequently I found that critical discourses abou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can fall into three categories; its detachment of discourses from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its immanent approach to assimilation, and its disconnection from fundamental purpos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social justices. In the perspective of these critical view point, I provided three meanings for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irst, discourses of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ies. Second,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redirect from immanent assimilation to multiculturalism. Last,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pursue fundamental purpos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social justices beyond educat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ure and foreign cultur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