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ㆍ중등 미술교육에서 한국화를 통한 감성개발의 의의
이용수 409
- 영문명
- Significance of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Traditional Korean Painting in Art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민병권(Min Byoung Gwo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9券 1號, 249~27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물질문명의 생활방식과 미술교육에 있어 서구조형방법의 편중된 학습으로 인하여 생긴 학생들의 서구화된 감성을 전통 회화인 한국화의 다양한 조형방법의 학습을 통하여 어떻게 한국인의 고유 심미의식과 미감 등 감성을 개발시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이러한 한국적 미감의 회복을 통한 감성개발을 위해서는 초ㆍ중등 미술 교육에 있어 한국화를 단순히 전통미술이라는 인식을 넘어 적극적이며 체계적인 실기방법을 정립하여야 하며, 이를 통하여 어떻게 동양의 전통적 사상을 직간접적으로 체득함으로써 감성을 풍부하게 함과 동시에 인성도야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방법을 탐색해야 한다. 현재 초ㆍ중등 미술교육에 있어 한국화 실기부문은 형식과 방법론에 그치고 그것을 왜 교육해야하는지에 대한 전인격적 감성개발의 측면으로 다가서지 못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화의 실기교육을 통한 감성개발이라는 주제로 알아봄으로써 오늘날 서구적 감성에 젖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학생들에게 동서양의 균형 있는 감성을 키울 수 있도록 그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how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esthetical awareness and sense of beauty intrinsic to Korean sentiment can be realized by incorporating learning of various visual technique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whose emotional tendencies have been influenced by overly westernized visual methods when it comes to the life style and the art education of the 21st century's material civilization. In order to instigate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recovery of Korean sense of beauty, a more proactive and systematic art practice must be established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education, beyond the confined frame of Korean painting as a mere traditional art domain. Through this effort,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how emotional enrichment and individual development can be strengthened through students' direct and indirect learning of oriental traditional concepts.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education's Korean painting practice falls short in just teaching formal methodology rather than giving light into why such education is needed, thereby being insufficient in accommodating personal development. Hence, this study examines traditional sense of beauty embedded in the forms of Korean paintings as the subject of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 for Koreans as a means to suggest a way to restore a more balanced emotional development between the Oriental culture and the Western in students who are living in an environment where western influence dominat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한국화의 미의식 속에 담겨진 감성
Ⅲ. 한국화를 통한 감성개발의 의의(意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