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융복합 교육을 위한 미술과-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이용수 1,33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Art for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아(Sun ah Kim) 이삼형(Sam hyung Lee) 김종우(Jong woo Kim) 김시정(Si jeong Kim) 김동성(Dong sung K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9券 1號,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년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융복합 교육을 지향하는 정부의 교육 정책이 현장에서 실효를 거둘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장기적인 융복합 교육의 발전 토대 마련과 학교 교육과정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하여 본 연구는 미술과 국어, 두 교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융복합 교육 실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의 교육과정을 새로운 각도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 등을 활용하여 미술과 국어 두 교과를 대상으로 각 교과의 교육과정 문서에 있는 융복합 공통 키워드를 추출, 시각화하였다. 즉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적용을 통해 융복합 교육을 위한 각 교과 핵심 개념을 추출해 보고, 그 개념들 간의 연결 중심성을 중심으로 사회 네트워크로 나타냄으로써 개념들 간의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유의미한 군집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현존하는 각 교과의 교육과정을 키워드 중심으로 새롭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길을 열어줌은 물론이고, 각 교과의 융복합 키워드를 확인하여 그 관계성을 시각화함으로써 교과 간의 융복합 교육에서 타당하고 실증적인 연계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an with the intention of setting the base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policies of cultivating creativity and competency in this period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way of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National Curriculum was sear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effort would support the long-term expans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fundamental reformation of schools. This study used the text mining technique as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different concepts of school subjects was explored by extracting the core concepts of subjects and analyzing the network of key terms through text mining. The results were visualized in diagrams that would enable us to compare and communicate between different school subj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its contribution to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subjec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