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시 내러티브 사례 분석 연구
이용수 1,168
- 영문명
- A Case Study of Exhibition Narrative Analysis: Based on the Kansong Culture Exhibi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안금희(Keum hee Ah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9券 1號, 25~5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술 작품의 선택과 배치에 따른 전시, 전시 설명 텍스트, 디지털 이미지 등을 통해 전시 내러티브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간송문화전을 한 사례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전시 내러티브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전시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전시의 주제와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관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전시 주제의 내러티브 특징은 첫째, 수집가의 삶의 궤적이 묻어난 수집 일화를 중심으로 한 내러티브, 둘째, 수집을 통해 정당화된 '명작' 중심의 전시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전시 방법의 내러티브 특징으로는 첫째, 제한적 접근으로의 배치, 둘째, 원작과 디지털 이미지의 혼종이라는 차원에서 되짚어 보았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시 내러티브의 대안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제된 수집 이야기의 적극적인 제시와 관련하여, 간송 전형필의 수집에 관한 직접적인 자료 전시가 요구되며, 간송 전형필의 수집에 대한 사회적, 맥락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이번 전시의 특징이 원작과 디지털의 하이브리드 전시이며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전시라는 점에서 원작의 조형성과 맥락성의 조화 그리고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고무시키기 위해 양방향적 소통 방식에 따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관람 계층의 교육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진정한 대중 친화적 전시가 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 case of the Kansong Culture Exhibition, interested in how the exhibi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artworks including visual image, text, digital image, an exhibition constructs its own narrative. The research method is to inquire the related references about exhibition narrative and analyze the exhibition based on its theme and method in terms of exhibition narrativ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theme are as followed. First, a narrative based on the collection stories which show the collector's life. Second, 'master' artwork centered exhibition narrative through his collecting.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method are the design of restricted accessability to the artwork in exhibition and the hybrid of the original artworks and digital images.
This study, in conclusion, suggests that exhibition narratives should be designed to elicit enlightened understandings from visitors in that exhibition is a pedagogical device for general viewers. First, the exhibition narrative should be providing another narratives of collections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exhibition, in order to elicit viewer's own inferences for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the collection of Kansong. Second, since this is the hybrid exhibition in terms of the mix of objects and digital images and uses the technology, this study suggests the harmony of formalism and contextuality of artworks and the technology application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isitors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s it should be a public-friendly exhibition through the efforts for satisfying the educational demands of diverse types of visito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간송 문화전의 전시 주제와 내용
Ⅲ. 전시 주제와 방법에 따른 전시 내러티브 분석
Ⅳ. 대안적 전시 내러티브의 방안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