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아동화 분석 사례에서 드러난 창의성에 대한 해석학적 담론 분석

이용수  411

영문명
A Discourse Analysis of Creativity Revealed through the Teachers' Hermeneutic Processes of Their Students' Drawings in Korean Prim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정옥희(Jeong Ok H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9券 1號, 79~10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0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창의성에 대해 보편적 인식들이 각자의 환경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교육이라는 실천적 상호 관계 속에서 다양한 방식과 양상들로 전개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창의성을 둘러싼 교육학적 가정들을 탐구하고 초등학교 현장 교사 5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이 가르쳐온 아동들이 그린 그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창의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실천 접근 방식을 담론으로 수집하여 각기 다른 세 가지: 전통주의, 온건주의, 비판주의 해석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남다르고 독특한 인지능력과 사고과정, 창의적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하는 다소 전통주의적 창의성에 대한 담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창의성이란 시대마다 문화적으로 달라지는 것임을 인지하고 아동 개개인이 가진 고유의 특징적인 잠재력을 창의적 요소로 인지하는 온건주의적 인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에 대한 기존에 설립된 가정들을 전제하지 않고 그림을 통해서 아동 자체를 이해하여 소통함으로써 교육적 실천 매개로서 인식하며 교사 자신들의 태도를 반성적으로 보여주는 비판주의적 실천 담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이라는 사회 속에서 창의성에 대한 해석들이 교육적 실천으로 이행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educational discussions of creativity have been perpetu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art education due to significant validity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art. Nonetheless, it is now necessary to re-visit and carefully scrutinize a number of long standing assumptions about creativity, because the contemporary place and role of art education have undergone tremendous transformations in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s of art and th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creativity are differently defined by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needs. This paper collects the discourses of creativity revealed through fiv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hermeneutic processes of their students' drawings. Then, the data is analysed through three different hermeneutic views: conservative, moderate and critical hermeneutics. The outcomes of the data analysis implicate significant roles of teachers for promoting potential abilities of developing their students' creativity in a contemporary where the meanings of creativity are more transient and uncertain; and provide a direction for critical engagement with educational practices indicating a sense of how particular notions of creativity are constantly produced and re-interpreted within the understanding contexts of their students' drawing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아동의 미적 발달과 창의성, 그리고 교사
Ⅲ. 연구방법
Ⅳ. 아동화 분석 사례를 통해 본 창의성에 대한 해석학적 담론
Ⅴ.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옥희(Jeong Ok Hee). (2015).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아동화 분석 사례에서 드러난 창의성에 대한 해석학적 담론 분석. 미술교육논총, 29 (1), 79-108

MLA

정옥희(Jeong Ok Hee). "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아동화 분석 사례에서 드러난 창의성에 대한 해석학적 담론 분석." 미술교육논총, 29.1(2015): 79-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