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외형 복합쇼핑몰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요인 평가분석
이용수 356
- 영문명
- Evaluation the Effects of Suburban Entertainment Center on Regional Economie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이재우(Lee, Jae Wo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58輯, 19~3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 개발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유형을 파악하고, 정책적 차원의 개발적합성 검토를 위해 파급효과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파급효과 유형을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활용한 AHP분석기법을 통해 영향효과의 상대비교와 중요도를 도출하였으며,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경제적 효과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경제에 미치는 복합쇼핑몰 영향은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모두 존재하며, 둘째, 방문객 증가로 인한 지역소비지출 증대와 같은 관광효과가 긍정적 영향 중 상대적으로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규모개발에 따른 교통혼잡 증가는 부정적 영향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다. 전체적으로 복합쇼핑몰의 긍정적 효과가 부정적 효과에 비하여 월등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파급효과의 상대적인 중요도 평가방식은 대규모 개발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과 갈등관리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uburban entertainment center on regional economies and to quantify the importance of the effects for evaluation development policies.
(2) RESEARCH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ntertainment shopping mall are compar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AHP technique. Also, quantitative economic technique such as an input-output model was performed.
(3) RESEARCH FINDINGS
First, entertainment shopping mall has both positive impacts(+) and negative impacts(-) on regional economies. Second, the tourism role of the entertainment shopping mall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ce factor among positive impacts. Third, generation of traffic congestion turned out to be the critical factor among negative impacts. Fourth, overall importance score of positive impacts is definitely higher than that of negative impacts through an AHP analysis.
2.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positive effects of suburban entertainment center on regional economies have been perceived as more important elements in development policies and give implications for conflict resolutio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실증분석
Ⅳ.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시 아파트 매매시장 유형별 가격변동 영향요인 분석
- 주택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과 그 과세 문제 연구
-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옥외시설 중요도 분석
- 공동주택대표회의 선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주택임대차의 공시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도심형복합상업시설의 주변지가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주택거래량과 주택가격에 관한 연구
- 대형유통업체 입점에 따른 전통시장의 피해 예측 방법론
- 가계 재무구조와 주택자산 손실회피
- 주택시장 경기변동과 주거특성들의 아파트가격에 대한 영향력 변화
- 부동산경매에서 즉시항고에 대한 매수인의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 유치권자의 경락인에 대한 피담보채권의 변제청구권의 유무
- 베이비부머와 고령자의 자산효과 차이 분석
- 토지리턴제 용지공급방식의 개선방안 연구
- REITs 수익률의 ARIMA Model 설정에 관한 연구
- 교외형 복합쇼핑몰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요인 평가분석
- 글로벌 금융위기 전ㆍ후로 거시경제변수와 부동산시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재산세 세부담상한제도 분석
- 오피스 하부시장간 영향에 관한 연구
- 매수인의 특성이 토지 실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행정통합에 따른 아파트가격 분석과 지역간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하자정보의 실시간 피드백에 의한 공동주택의 하자예방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농촌 활성화를 위한 법 구성에 관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