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thodology of Studying Modern Fantasy Epic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고영진(Young-jin, Go)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4輯, 257~2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f you consider the desire for stories is the true definition of epics, what you must declare is the characteristic of fantasy that epics contain. Especially, the epic that the fantasy operated in the law of ethics is reflected in means the essence of the epic itself and the possibility of drawing a new line against the surround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review fantasy and ethics at the same time as two axes applying to contemporary novels. The approach viewing fantasy epics from a point of ethics ha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 independent narra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fantasy epics. Searching for the origins of unique fantasy in Korean literature and applying the ethics inside Korean history and society to them will provide a head start for interpreting existing fantasy epics newly. Discussing fantasy, considering the aspects of producing contemporary epics, becomes synonymous with examining the identity of ideolog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closely. Fantasy is operated keeping an ideology in mind all the time. Thus, considering ethics of an author, readers and his times is essential to study fantasy. Of course, to read all modern fantasy epics with the methodology of ethics is also dangerous to form another prototype. Ethics in this article is a suggestion to read fantasy epics with a new reading method. The new possibility and the old value of Korean modern epics lie in the very desire for fantasy and the taboo against the desire based on human instinct to make stories endlessly, conclusively the ethics deciding the border of the taboo. Literature is born considering ethics for others or minority group at all times. At the same time it is made up of fantasies about others. Furthermore, it can be expanded to the unborn considering social ideology and cultural training again. Ironically fantasy began to fill the gap of unrealistic phenomenon to explain reality. This epic satiety is the ethics of fantasy and the reality of fantasy.
목차
1. 문제제기:소설의 정의
2. 연구사정리:기존 연구사의 결정적 한계
3. 연구 방법론:윤리적 시선의 가능성
4.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현대 환상 서사의 진정성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행문학 <金剛山.四郡遊山記>의 내용 분석
- 조남익 시 연구
- <고산구곡가>식 대칭표현형 연시조들의 유형성과 개별성
- 현존재의 진정성과 충만한 영원
-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의미
-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 청마 시의 '극한'의 의미와 한계
- 古典小說에 나타난 謫降話素의 起源 探索
- 조선후기 通信使와 四溟堂
- 오장환 시의 정치성 연구
- 현대 환상 소설 연구 방법론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의 유형적 특성 고찰
- <逸民歌>의 內的 짜기방법
- <정선 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