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ward forming method of Ilminga(song of hermit)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양희찬(Hee-chan, Y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4輯, 147~1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lminga'(song of hermit) figured writer's intention in detail so that it is well costructed. The writer separated his unfortunate reality(resigned from government service by another's will) from his life and, at the same time keep reality in his viewpoint(gothic viewpoint of royalty). Figuring this double life is standard of estimation of this work. And the subject is a peaceful life in Gangho that involved double psychology. In analysis of this work, it is focused that subject matters and phrases, pieces of content interact in whole context. And the basis of figuring is reality of writer and psychological reaction of that. The writer's eye in work is on present time. Figuring technique of this work is appeared in duality technique in costructuring contents. To use this technique effectively, causality, parallel sentences and repetition of synonymous meaning are used properly. It shows that form of this work is reason of the four steps in composition.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at to put writer's particular intention into work, theory that bind consistently figured meanings in regular relation.
목차
1. 머리말
2. 짜임새 파악의 실마리
3. <玉泉田家之樂> 부분의 짜임새와 內容짜기技法
4. <竹島江湖之勝> 부분의 짜임새와 內容짜기技法
5. 序頭와 結末및 餘音의 性格
6.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행문학 <金剛山.四郡遊山記>의 내용 분석
- 조남익 시 연구
- <고산구곡가>식 대칭표현형 연시조들의 유형성과 개별성
- 현존재의 진정성과 충만한 영원
-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의미
-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 청마 시의 '극한'의 의미와 한계
- 古典小說에 나타난 謫降話素의 起源 探索
- 조선후기 通信使와 四溟堂
- 오장환 시의 정치성 연구
- 현대 환상 소설 연구 방법론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의 유형적 특성 고찰
- <逸民歌>의 內的 짜기방법
- <정선 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醒菴 李喆榮의 항일 일기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