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ongshinsa and Samyeongdang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한태문(Tai-moon, Ha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4輯, 235~2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writing is for the effects of Samyeongdang on Tongshinsa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cord of Tongshinsa, The collection of Samyeongdang works, etc. can be summarized briefly as followed. Firstly, Samyeongdang went to Japan as an envoy, progressed the conference with Tokugawa Iyeyas(德川家康) and normalize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In result, with the resumption of Tongshinsa severed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exchange of various Korean-Japanese cultures can be possible through the Tongshinsa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In other words, Samyeongdang was the best merit person who recovered the diplomatic tradition of mutual relations. Secondly, Samyeongdang sent the letter asking Japanese people concerned by diplomacy for help so that Chosun prisoners can be repatriated, through Tongshinsa dispatched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nd he requested Tongshinsa to strive to bring many prisoners in Japan through the ode to them. Consequently, in the record of Tongshinsa, the figure of Tongshinsa who did the best for prisoner repatriation was described so often and through Tongshinsa, prisoner repatriation c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Thirdly, Samyeongdang went to Japan as an envoy and exchanged with Japanese through poetic conversations and conversational writings. Especially, he composed a poem praising Antokuk emperor(安德天皇) died under a false accusation in Akama Gaseki(赤間關). After then, Tongshinsa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lways composed a poem to the poem of Samyeongdang in that place traditionally. We can guess that Samyeongdang prepared the opportunity exchanging writers of two countries through Tongshinsa finally. Like this, the effects of Samyeongdang on Tongshinsa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were very great.
목차
1. 들어가기
2. 통신사행에 끼친 사명당의 영향
3.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행문학 <金剛山.四郡遊山記>의 내용 분석
- 조남익 시 연구
- <고산구곡가>식 대칭표현형 연시조들의 유형성과 개별성
- 현존재의 진정성과 충만한 영원
-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의미
-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 청마 시의 '극한'의 의미와 한계
- 古典小說에 나타난 謫降話素의 起源 探索
- 조선후기 通信使와 四溟堂
- 오장환 시의 정치성 연구
- 현대 환상 소설 연구 방법론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의 유형적 특성 고찰
- <逸民歌>의 內的 짜기방법
- <정선 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醒菴 李喆榮의 항일 일기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