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cial position of 'New Women' -The using with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 metaphor-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강소영(So-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4輯,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aphorical expressions related to New Women in Sinyeoseong and to examine how New Women were perceived in those days. As a result of change in society system, women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revious ages. That is, with the transition from the feudal system to modern society in Korea,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traditional position, role and status of women. The role of women as a power group who can save the country from crises was emphasized and, as a result, women freed themselves from the boundary of their home, which had been the traditional space of their life. While women were educated and awakened repeatedly and looked for new ways of achieving freedom and liberation, the society made efforts to return women to their traditional womanly image. In the middle of this conflict, women who tried to get freedom and social position could not help experiencing frustration. This study proved the reality through metaphors. Sinyeoseong advocated women's liberation, free marriage, and the import of new trends of thoughts through its editorials, but it was only an ideal and women in realities were still “Old Women" confined in the boundary of traditional home. Women's position as such was not different from the metaphor of gisaengs from whom new women themselves drew a line, and the metaphor proves that new women were not a principal axis of modernization but remained in the position as an object of commercial trade and under slavery. Accordingly, in the social order in the middle of transition from feudal society to modern society, women's role was not changed from their traditional position as a wise and charm attendant for men, but served men merely in a new way fit for the new social order.
목차
1. 서론
2. 개념적 은유설
3. 『신여성』에 나타난 은유 표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행문학 <金剛山.四郡遊山記>의 내용 분석
- 조남익 시 연구
- <고산구곡가>식 대칭표현형 연시조들의 유형성과 개별성
- 현존재의 진정성과 충만한 영원
-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의미
-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 청마 시의 '극한'의 의미와 한계
- 古典小說에 나타난 謫降話素의 起源 探索
- 조선후기 通信使와 四溟堂
- 오장환 시의 정치성 연구
- 현대 환상 소설 연구 방법론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의 유형적 특성 고찰
- <逸民歌>의 內的 짜기방법
- <정선 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