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Jo nam-ik's poetry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홍희표(Hui-pyo, Ho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4輯, 423~45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you know Jo nam-ik is the representative poet in Chung Cheong-Do. But his poetic study is inadequate now. That's because he is a local poe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Jo's poetry. Jo has been writing the poems for 50 years. His poetic world is various with the long period. First, he shows loyalty of Baekje and Joseon in his poetry. Second, he reveals drifting people through the place name and historical events of Buyeo and Chung Cheong-Do. Third, He shows self discovery and self pity through the relationship of his family and literary friends. To the sum, his loyalty, drifting people and self pity boil down to nostalgia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Jo was born and grew in Buyeo. And he has lived in Buyeo and another district in Chung Cheong-Do. So he is Buyeo resident and Buyeo poet. Especially his hometown, sugori is poetic god's hometown which contains a basic life and native spirit. Thus his hometown, sugori and Buyeo, the old capital of Baekje are his lifelong poetic theme. I think hometown is a good old place. It is a friendly place which heals our body and soul. But modern people forget their hometown on the pretext of busyness. Hometown is a place which regains their own selves. I want modern people to recover their mental hometown with Jo's poetry and hope many scholars to study his poem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주제의식과 시적 공간
3.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행문학 <金剛山.四郡遊山記>의 내용 분석
- 조남익 시 연구
- <고산구곡가>식 대칭표현형 연시조들의 유형성과 개별성
- 현존재의 진정성과 충만한 영원
-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의미
-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 청마 시의 '극한'의 의미와 한계
- 古典小說에 나타난 謫降話素의 起源 探索
- 조선후기 通信使와 四溟堂
- 오장환 시의 정치성 연구
- 현대 환상 소설 연구 방법론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의 유형적 특성 고찰
- <逸民歌>의 內的 짜기방법
- <정선 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