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narrative field, its causes and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기옥(Ki-ok,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4輯, 59~8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 narrative field in the context of studies of oral literature. Even a distinguished narrator cannot be from the context of a narrative field. The diverse contexts of a narrative field affect a narrator and their story telling to a great ext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a narrative field which strengthens the narrative capacity of speakers and diversifies story telling. This study classified five elements of activating a narrative field:1) the stability of story telling conditions and proper number of audiences 2) faithful and active audiences with strong reactions 3) more then two speakers who will make a shift of story telling 4) a speaker with a specific profession 5) absence of religious influence. A narrative field is determined by various elements such as a speaker, audiences and many variables of performance. Therefore, the capacity of a speaker is strongly dependent on such variables and the recording of story telling in performing sites need nuanced and sophisticated approaches. In order to discover an outstanding speaker, it is necessary to have nuanced understanding on a narrative field. The understanding on a narrative field should be accompanied with the sophisticated recording of story telling and deeper studies on speakers.
                    목차
1. 머리말
	                       
	                          2.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행문학 <金剛山.四郡遊山記>의 내용 분석
 - 조남익 시 연구
 - <고산구곡가>식 대칭표현형 연시조들의 유형성과 개별성
 - 현존재의 진정성과 충만한 영원
 -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의미
 -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 청마 시의 '극한'의 의미와 한계
 - 古典小說에 나타난 謫降話素의 起源 探索
 - 조선후기 通信使와 四溟堂
 - 오장환 시의 정치성 연구
 - 현대 환상 소설 연구 방법론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의 유형적 특성 고찰
 - <逸民歌>의 內的 짜기방법
 - <정선 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醒菴 李喆榮의 항일 일기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