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ituation of enlightenment 'Gasa(歌辭)' data and meaning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신지연(Ji-yeon, Shin) 최혜진(Hye-jin, Choi) 강연임(Yeon-im, G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4輯, 31~5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Gasa materials and it is needed to establish Gasa materials for research of enlightenment language and literature. For this propose, first it is fixed enlightenment from 1870 to 1910. And various data during this time are gathered. It reports the present condition of gathering Gasa materials so far. This data is analyzed by times, resources, and types. Through this work, it is studied about overall situation of enlightenment Gasa. The distribution of enlightenment Gasa is abundant from 1906 to 1910, next it is from 1901 to 1905, and from 1891 to 1900. And in those days, it was prevalent in various print media of newspapers, magazines and etc. So Gasa works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Especially Daehanmaeil-sinbo and jeguk-sinmun are usually made of this works, and the rest are hwangseong-sinmun, kyung hyang-sinmun and so on. Based on Gasa materials of 1,433 as that gathered and arranged works until now, they are classified by culture types. The types are new civilization.life, woman, education, religion.philosophy, ethics.norms, race .patriotism, arts, travel, etc. According to this types, race.patriotismGasa were most plenty, and next are religion.philosophy Gasa and new civilization.life Gasa. With this Gasa materials, established source book adding explanation, index etc. gets a foothold to study enlightenment Gasa. In the future detailed and macroscopic discussion of enlightenment Gasa is needed with this researches.
목차
1. 서론
2. 개화기 가사 자료 구축의 의의와 필요성
3. 개화기 가사 자료의 수집
4.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분석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행문학 <金剛山.四郡遊山記>의 내용 분석
- 조남익 시 연구
- <고산구곡가>식 대칭표현형 연시조들의 유형성과 개별성
- 현존재의 진정성과 충만한 영원
- 개화기 가사 자료의 현황과 의미
-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 청마 시의 '극한'의 의미와 한계
- 古典小說에 나타난 謫降話素의 起源 探索
- 조선후기 通信使와 四溟堂
- 오장환 시의 정치성 연구
- 현대 환상 소설 연구 방법론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의 유형적 특성 고찰
- <逸民歌>의 內的 짜기방법
- <정선 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