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고 읽기와 제작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이용수 199
- 영문명
- Analysis on reading and production of advertis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emiology - focused on qualitative case study -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길자(Park Gil Ja)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2집 제1호, 239~26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광고가 가지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적 차원에서 광고의 도입을 시도하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광고를 교육에 도입하는데 유효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호학적인 관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해서 학생들이 광고를 읽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기호학적인 특징의 분석을 통하여 광고의 교육적 의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례수업에서 학생들은 광고에서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활용된 기호들이 가지고 있는 외시, 함축, 신화적 의미를 학생들의 수준에서 나름대로 저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광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여러 가지 기호를 활용하여 상징적인 의미로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학생들이 광고에서 언어적·비언어적 기호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외시, 함축, 신화적 차원을 이해함으로써 광고가 사회적 관습이나 문화적 특징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도여 주었으며, 또한 학생들이 여러 가지 기호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보다 풍부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구성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광고가 중요한 교육적 의의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meaning of advertisement that students come in contact with in their daily life. Through previous study which suggested introducing advertisement for educational purpose, the utilization of the advertisement in education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emiology. Based on these study, its educational meaning is analyzed through semiotic features shown in the process of advertisement reading and production.
Date analysis was undertaken through March and April in 2004. 260 students in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observed in social study class. Qualitative case study was undertaken using various documents, 260 advertisement reading materials, and 130 advertisement production materials.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 interpret denotative, connotative, and mythological meaning that signs in advertisement contain to convey meaning. They seem to read the meaning in their intellectual level.
Plus, students construct messages they want to deliver with symbolic meaning utilizing various signs in the advertisement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shows that advertisement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text for reading social custo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rocess of students understanding denotative, connotative, and mythological meaning that linguistic-nonlinguistic signs in advertisement contain. It also shows that advertisement provides educational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students expressing their ideas more richly and creatively using various signs, which improves students' meaning constructing ability.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대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토론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 몬테소리 우주교육론을 기저로 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현장 교사들이 제안하는 초등 과학교육 내실화 방안
-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 시험치기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각국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비교 연구
-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CIRC)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과정 중심의 절차적 수업을 통한 영어 쓰기능력 향상의 질적 연구
- 통합교육을 통한 창의성 함양 방안 연구
- 다매체적 접근을 통한 다상징적 교수·학습방법 -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 토의·토론 수업의 개념과 수업에의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 광고 읽기와 제작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