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과 토론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이용수 424
- 영문명
- A Report on Debating model for Moral teach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백춘현(Baek Choon-Hyo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2집 제1호, 297~33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비판적 사고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심을 대양할 수 있는 학습방법으로의 토론학습모형개발은 매우 절실하다. 이 글은 이런 필요에 따라 도덕과 토론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실천한 결과에 대한 도고서이다. 여기에서는 이 수업모형을 만들게 된 교육환경적, 교육이론적 배경과 교과교육과정 토론수업모형, 평가기준, 토론기법 향상법 개발과정 등이 소개되어 있다 연구자가 개발한 모형은 학생들을 찬성과 반대 팀으로 나누고, 이들에게 학습 자료와 탐구주제를 제시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게 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논쟁식 토론(debate)방식을 사용하여 토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도덕과 교과교육과정을 재편성하였고 필요한 학습 자료를 개발했으며 수업모형과 평가방법 및 기준 등을 개발하였다. 또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토론의 구조, 주요 개념, 오류, 반박하기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to develop a debating model of moral teaching for enforcing the self-studying ability, cooperating team-work and critical thinking. This report is about developing such a model according to that necessity. Here, I am reporting a developed subject curriculum, the back grounds of educational schoolcircumstances, criteria for evaluating and technics for improving student's skill of presentation and listening.
The model that I adopted is a academical debating model. I made topics for debating, materials for reading and gave the students for self studying. Then I made the students have a work shop for themselves and had a debating. I made my own curriculum of my subject. More over, I teach my students to improve their own skill of speaking and listening.
I found this way of teaching was very helpful for my students and even for my self. We enjoyed last semester to debate various issues and topics.
목차
요약
1. 문제의 제기
2. 모형 개발의 배경
3. 모형 개발의 실제
4. 토론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5. 평가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정보화 사회는 바람직하다(수업 사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토론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 몬테소리 우주교육론을 기저로 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현장 교사들이 제안하는 초등 과학교육 내실화 방안
-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 시험치기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각국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비교 연구
-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CIRC)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과정 중심의 절차적 수업을 통한 영어 쓰기능력 향상의 질적 연구
- 통합교육을 통한 창의성 함양 방안 연구
- 다매체적 접근을 통한 다상징적 교수·학습방법 -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 토의·토론 수업의 개념과 수업에의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 광고 읽기와 제작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