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346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e on a Teacher's Experience of Yeoli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광순(Kwang soon Je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2집 제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교육분야에서 열린교육운동이 본격화되었던 80년대 후반과 90년대에 초등학교에서 가르친 한 교사의 열린교육에 대한 체험을 이야기하기와 다시이야기하기 라는 내러티브탐구의 형식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A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을 초등교사로 사는 것에 적응하기,참교육과 열린교육, 도움과 홀로 서기, 열린 교실 문화 체험 항목으로 구분하여 이야기하였다이 이야기를 토대로 A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은 A 자신의 초등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확장으로 해석함으로써 다시 이야기하였다. 첫째, 열린교육은 A에게 교직에 대한 적응, 교실수업 및교실생활에 대한 개선 열망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것은 교실생활에서의 성공 느낌을 갖고 싶은초등교사의 삶이다. 둘째, A는 열린교육 치험을 통해 초등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인식하였고, 교육 개선의 방향이 시범 수업이나 모범학교 운영을 넘어서 일상적인 교실 수업의 개선이어야 함을 이해하게 되었다 즉 교육에 대한 사고 ·접근 방식이 거시적 차원에서 미시적 차원으로 변하면서 A는 참교육, 열린교육을 넘어서 초등교육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narrative on a teacher's experience of Yeoli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he story telling as narrative of the teacher's real experiences of Yeolin Education. The other is the analysis of that from the elementary educational aspect.
As real experience of Yeolin Education is described as four categories. They are the adaptation as elementary school teacher, Charm Education and Yeolin Education, other's helping and by oneself, and the standardization of open classroom's culture. By based the teacher's narratives, it retelling of that form the elementary educational aspect.
Y oe1in Education' meaning for A teacher is to adapted at oneself life in elementary school, to desi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ife in his classroom. First, it means his dream that is his successful sense of his work. Second, This study is retelling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ransferred Charm Education or Yeolin Education by based his Yeolin Education's experience. He have knew the integrat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have interested his teaching in routine classroom practices as a good teaching, have changed the paradigm of educational thinking and approach method to macroscopic comprehensive from microscopic comprehensive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연구설계
3. 이야기하기: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4. 다시이야기 하기: 열린교육체험으로 초등교육 이해하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토론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 몬테소리 우주교육론을 기저로 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현장 교사들이 제안하는 초등 과학교육 내실화 방안
-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 시험치기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각국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비교 연구
-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CIRC)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과정 중심의 절차적 수업을 통한 영어 쓰기능력 향상의 질적 연구
- 통합교육을 통한 창의성 함양 방안 연구
- 다매체적 접근을 통한 다상징적 교수·학습방법 -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 토의·토론 수업의 개념과 수업에의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 광고 읽기와 제작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