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이용수 3,028
- 영문명
- Action Research as a Bridge between Research and Teach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M.A. Thesis Research Method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용숙(Lee Yongsook) 김영미(Kim Youngmi) 김영천(Kim Youngcheon) 이혁규(Lee Hyukkyu) 조덕주(Cho Dukju)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2집 제1호, 363~40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0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실행연구의 형태로 이루어진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스스로 수행한 실행연구 과정 및 교육대학원에서의 논문지도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과 실행연구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교사 연구자를 위한 실행연구 핸드북」을 개발하였다. 이 글은 이 핸드북의 주요 내용을 제시한 것으로, 우선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개념과 모형을 소개하고, 실제 실행연구 사례 50여 편의 분석 결과 연구 목적별로 유형화 된 3개의 실행연구 유형별로 연구 설계가 어떻게 달라질 필요가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실행연구의 과정별 연구 설계 지침과 고려할 점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행연구논문의 작성 과정에서의 고려사항들을 일반적인 연구논문의 경우와 비교하면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a cooperative action research by five professors who belong to four differen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for the development of a handbook for teacher-researchers who want to conduct an action research. Based on an analysis of 50 action researche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each researcher and their graduate students in advising/conducting action research, a handbook for action research was developed and revised several tim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seminar which was organized to show and evaluate the first edition of the handbook. Since most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handbook except for the organization of the handbook, only minor changes were made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 and provision of more actual research examples by teacher-researchers.
In this article, concept and research models of action research are introduced and research designs, which need to vary according to the different categories of action research, are discussed. The three major categories of action research based on the major aims of research are as follows:
l) action research which aims to find causes of major problems and to improve situations in the research fields,
2) action research which aims to develop programs which can be used widely by other teachers,
3) action research which aims to find immediat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the field.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실행연구의 개념과 모형
3. 실행연구의 연구 설계
4. 실행연구의 과정
5. 실행연구 논문 작성
6.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도덕과 토론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 몬테소리 우주교육론을 기저로 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현장 교사들이 제안하는 초등 과학교육 내실화 방안
-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 시험치기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각국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비교 연구
-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CIRC)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과정 중심의 절차적 수업을 통한 영어 쓰기능력 향상의 질적 연구
- 통합교육을 통한 창의성 함양 방안 연구
- 다매체적 접근을 통한 다상징적 교수·학습방법 -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 토의·토론 수업의 개념과 수업에의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 광고 읽기와 제작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