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86

영문명
The Effect of Schema-learning, which uses Mnemonics, on the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Learning Korean Languag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경현(Kim Kyung Hyu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2집 제1호, 117~14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5.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을 국어과 수업에 적용하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을 국어과 수업에 적용하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의 적용 결과 학습 수준별(상·중·하)에 따른 파지효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서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을 적용하면다양한 학습능력 집단(상·중·하)의 학생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와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을 교실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형태의 수업전략 및 모형개발이 병행된다면 국어과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 of Schema-learning, which uses mnemonic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and motivation Korean language. It has the following result. First, it found that applying Schema-learning, which uses mnemonics, to Korean language lesson improved the class work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found that applying Schema-learning, which uses mnemonics, to Korean language lesson improved the study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when applying Schema-learning, which uses mnemonics, there wasn't meaningful difference in its effect on each level (high, middle, low). The above result shows that Schema-learning can be applied to each level of students (high, middle, low) and can ultimately improve their class work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study. It is believed that through many studying strategies of Schema-learning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and activate their schema. The teachers could find and strengthen the schema that students lacked in. Then the students were believed to improve their recognition and memory on what they learnt. It found the schema of student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and knowledge based on their levels. The classroom lesson and course was differently processed considering the levels of students. If it develops various programs, class work strategies and models to apply Schema-learning to classroom lessons, it could be a turning point to improve Korean language class work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현(Kim Kyung Hyun). (2004).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열린교육연구, 12 (1), 117-145

MLA

김경현(Kim Kyung Hyun). "기억술을 활용한 스키마 학습법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열린교육연구, 12.1(2004): 117-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