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이용수 113
- 영문명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규민(Guemin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193~20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의 수행수준은 종종 하나의 특정 분할점수를 기준으로 이를 넘은 학생의 비율(percentage of students at or above a cutscore: PAAC)로 보고된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의 PAAC 점수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표준 오차 추정 방법으로 조건 표준 오차(conditional standard error)와 전체 표준 오차(overall standard error)가 검토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미국에서 주(state)에서 시행되는 대표적인 평가체제 중 4학년과 8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언어검사(English Langage Arts)와 수학검사(Mathematics)이다. 대략 150여개 학교가 이 연구를 위해 표집되어 자료가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1) 조건 표준 오차는 PAAC 점수에 따라 2차 함수 형태의 패턴을 보이고, (2) 2차 함수 형태는 학교의 규모가 작을수록 더욱 분명하게 확인되고, (3) 전체 표준 오차나 조건 표준 오차는 학교 규모를 기반 축으로 비교될 때 매우 유사한 형태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도 학교 PAAC 점수에 대한 표준 오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보고 형식이 함께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School test performance is often summarized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students at or above a cutscore (PAAC) that has been set on a test. Two types of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AC'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conditional standard errors and overall standard errors. The effect of school size on these standard errors also was examined. The tests used in this study were English Language Arts and Mathematics tests administered to Grades 4 and 8 students as part of a large, statewide assessment. About 150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conditional standard error appears to follow a quadratic pattern as a function of PAAC, (2) the quadratic shape is substantial when school size is small, and (3) the overall and conditional SE's are similar when they are conditioned on school size. Several feasible ways of reporting standard error information for school PAAC are also discussed.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Procedures of Estimating Standard Error for School PAAC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