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용수 541
-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Post-2008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Reform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남명호(Myung-ho Na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17~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2008학년도 이후의 대학입학제도 개선방안 중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 개선 부분의 주요 내용은 첫째, 수능 성적은 표준점수와 백분위를 제외하고 현행과 같은 9등급만을 제공하고 둘째,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하되 사고력 측정을 강화하며 셋째, 2010학년도 시험부터 문제은행식 출제 방식으로 전환하며 연2회 시험 실시 및 이틀간 나누어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등급 수를 현재와 같이 9등급을 유지한 것은 비교적 적절하나 규준참조식 등급 구분 방법은실제 수능 자료의 비정상적인 분포, 기준 등급과 실제 등급의 격차 등의 문제가 있어 준거참조 방식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 수능 시험과 교육과정의 연계를 더욱 강화하고 고등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서답형 문항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채점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수능의 복수 시행 여부는 단순히 수험생에게 복수의 시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판단해서는 안되며, 시험의 성격, 시험 범위, 등급 부여 방식, 문항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ost 2008 CSAT reform by MOEHR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SAT score report provides only 9 K-stanines. Standardized scores and percentiles won't be given to examinees. Second, CSAT will put much importance on close connection with high school curriculum and assessment of reasoning skills. Third, item pools for CSAT will be constructed as a way of writing items. Administrating a couple of CSATs or two-day CSAT is under consideration. It seems appropriate to keep 9 K-stanines as it is. However, Criterion-referenced method must be taken into account because norm-referenced standard setting method is problematic because actual CSAT score distribution is not normal and there exists a gap between standard and actual grade ratio. Supply type items must be introduced for close connection with high school curriculum and measurement of critical reasoning skill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utomated scoring program. Providing multiple chance to take CSAT cannot be the only reason to administer multiple CSATs. The nature and scope of CSAT, standard setting method, and item format must be considered in a comprehensive way.
목차
초록
Ⅰ. 들어가며
Ⅱ. 등급을 둘러싼 문제들
Ⅲ. 교육과정과 연계한 사고력 측정 시험
Ⅳ. 수능 연2회 실시
Ⅴ.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