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이용수 1,302
- 영문명
- A Comparison of Multilevel Models in Their Parameter Estimation - The Comparison of 2-level HLM, 3-level HLM, and CMM -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전민정(Min Jeong Jeon) 강상진(Sang-Jin Ka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123~1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층 모형을 활용하는 연구자들이 흔히 2수준 다층모형의 사용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 근간하여, 수집된 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다층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분석 방법이 될 것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수준 다층모형과 3수준 다층모형, 이원 다층모형의 모수 추정방식, 제공되는 정보 유형 및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론적 차원에서 제시하였으며, 경험적 자료 분석 결과를 통해 세 모형의 모수 추정치의 차이를 비교·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of parameter estimation between 2-level HLM, 3-level HLM, and crossed multilevel model(CMM) and to show empirical illustrations of the estimates when the three models analyzed the same data. The three models were compared under three conditions of model specifi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below. First, the three models decomposed variance components differently when the base models were compared. CMM decomposed the total variance into four components, while 2-level HLM and 3-level HLM decomposed the variance into only two and three components respectively. Second, the three models yielded nearly equal parameter estimates of the fixed effects when the predictors are specified at macro-level only. Third, 2-level HLM showed larger parameter estimates for fixed effects, and more shrunken standard errors of the estimates than CMM when the predictors were specified at both micro- and macro-level in the models. However, the results of parameter estimation of 3-HLM and CMM were almost identical.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