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이용수 495
- 영문명
- The Educational Effects and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U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지은림(Chi Eunlim) 김성숙(Kim Sungsook)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173~1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과별로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를 평가해보고 수행평가의 활용방식을 조사해보았다. 연구를 위해 5개 초등학교로부터 190명의 교사들을 선발하여 총 77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교육적 효과는 교과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가 기대하는 정도와 실제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는 실제 거둔 효과가 기대보다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교육적 효과를 5개 하위영역(고등사고능력 향상, 창의력 신장, 실제 능력 개발, 흥미 향상, 사고 과정 이해)으로 구분하여 조사해보았는데, 이는 흥미 향상과 실제 능력 개발이 가장 성과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 교과별로 가장 선호되는 수행평가 방법들을 조사해본 결과, 교사들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방법과 실제 사용하는 방법은 도덕을 제외하고 모두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valuat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examines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u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ectively for the subjects of Ethics,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Music·Art·Physical Education, and Englis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77 items administered to 190 teachers of 5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wteen subjects for the educational effect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actual effect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eachers expected. Among the subcategories of educational effects(higher mental ability, creativity, authentic ability, interest, cognition process understanding), performance assessment was considered to be most effective for improving students' interest and authentic ability. Meanwhile, there was a congruence between the methods considered as desirable and the ones used actually except Ethics. These imply that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selected and used with the consideration for the substanc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appropriate use of methods will enhance the effects of performance assessment.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