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용수 339
- 영문명
- A Theoretical Inquiry on the Construct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백순근(Baek Sun-Geu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59~7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사용 실천지능검사, 즉 교직수행지능검사(敎職遂行知能檢査, practical intelligence test for teachers)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교직수행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실천지능의 의미와 특성을 학문지능과 비교하여 자세히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교사가 교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천지능, 즉 교직수행지능의 개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그 구성 요인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특히 관련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다음 교직수행지능을 ‘교사가 교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갈등 상황을 잘 해결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능력’으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교직수행지능의 구성 요인으로 교직에서 수행해야 할 과제나 업무에 따라 7가지 하위 영역, 즉 ① 교과교육, ② 생활지도, ③ 행정업무, ④ 학생과의 관계, ⑤ 학부모와의 관계, ⑥ 동료교사와의 관계, ⑦ 자기계발을 제안함과 동시에, 각 하위 영역에 속하는 특정 문제나 갈등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행동 전략을 3가지, 즉 ① 자기조절(self-adjustment), ② 상황조정(restructuring), ③ 무관심(indifference)으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교직수행지능검사에 포함될 측정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하위 영역×행동 전략’의 이원분류표를 작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oretically into the construct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its measurement scale, so called 'practical intelligence test for teachers (PITT)' in near future. For this study, the meaning of practical intelligence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comprehensivel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cademic intelligence. In addition, based upon literature reviews, the concept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teachers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cope with conflictive or problematic situations while performing their job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truct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teachers might be composed of seven sub-domains (① instruction, ② guidance, ③ administrative work, ④ relations with students, ⑤ relations with parents, ⑥ relations with co-workers, ⑦ self-development) with three typical types of behavioral strategies (① self-adjustment, ② restructuring, ③ indifference). It is also suggested that two dimensional table with 7 sub-domains by 3 behavioral strategies be developed in order to make future measurement item for PITT.
목차
초록
Ⅰ. 들어가며
Ⅱ. 실천지능의 의미와 특성
Ⅲ. 교직수행지능의 개념 및 구성 요인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