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이용수 444
- 영문명
- Exploration of School Level- and Gender-Re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the computerized Aptitude Test for Youth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설현수(Hyunsoo Seol) 김명숙(Myong Sook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79~1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는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적성개발과 진로선택을 돕기 위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에서 2002년도에 개발된 지필검사의 내용을 컴퓨터에 탑재하여 온라인으로 검사 실시 및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 검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도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 동등화 연구를 수행하면서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을 추출하고 분석해서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를 구성하는 하위검사 및 측정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시사점을 얻으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를 구성하는 15개의 하위검사 중에서 ‘선그리기’검사를 제외한 14개 하위검사를 대상으로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을 Rasch모형을 적용한 WINSTEPS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추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른 하위검사의 차별기능문항분석 결과, ‘문자지각’검사의 경우 전체문항의 87%, ‘기호지각’검사의 경우 전체문항의 91%가 학교급에 따른 난이도 추정치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고하고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하위검사의 차별기능 문항분석 결과도 학교급에 따른 분석과 유사하게 ‘문자지각’검사 문항의 57%, ‘기호지각’검사 문항의 74.3%가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으로 집단간 집중력의 차이 및 응답반응의 성실성을 지적하였으며, 검사유형에 대한 충분한 예제숙지 및 하위검사의 재배치와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였다.
영문 초록
The Computerized Youth Aptitude Test is an online service that provides the execution and result presentation of the paper and pencil Aptitude Test for Youth, which has been designed b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ork Information Center in 2002 to aid the aptitude development and career choice of youth from second year in middle school to third year in high school. The objective of the the study is to extract and analyze the item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ender with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2004 Computerized Youth Aptitude Test equating studies, and thereby acquire validity and implication regarding the sub-tests and measurement components. Towards this aim, the item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ender have been extracted from 14 among the 15 sub-tests of the Computerized Aptitude Test for Youth (the “Line Drawing” test has been excluded) using the WINSTEPS computer program, which applies the Rasch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items in the sub-test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level shows that 87% of the total items in the “Letter Perception” test and 91% of the total items in the “Symbol Perception” test report substantial disparity between the difficulty estimates according to school level. Second, the analysis of the items in the sub-test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similarly indicates that 57% of the total items in the “Letter Perception” test and 74.3% of the total items in the “Symbol Perception” tes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To explain this occurrence, the disparity between groups in attention span and sincerity towards item response has been noted, and the discussion about satisfactory familiarity with the test direction and exercise items and rearrangement of the sub-tests has taken place.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