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이용수 533
- 영문명
- A Review of the Significance Testing and Effect Size in Empirical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권순달(Soon-Dal Kwo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 연구 특히 경험적 연구 결과 해석에서 통계적 유의도(p값)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통계적 유의 수준은 자료 자체보다 여러 가지 가정이 충족되는 경우에 사용되어야 한다. 표본의 수나 처치의 수준에 따라 t와 F값은 다르게 산출될 수 있으므로, 연구 결과 해석의 올바른 판단을 위하여 통계적 유의도와 함께 효과크기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해석하는데 있어 통계적 유의도와 함께 효과크기의 측정치가 사용되어야함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결과 해석에서 통계적 유의도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실증적인 예를 제시하였다. 교육학의 다양한 경험적 연구물 분석을 위하여 한국교육학회에서 발행되는「교육학연구」에 실린 대부분의 실험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논문들이 연구 결과를 제시할 때 통계적 유의도에 의해서만 해석하고, 효과크기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분석 대상의 논문 중 한 편만이 통계적 유의도와 함께 효과크기를 제시하였다. 5편의 논문에서 제시된 측정치를 가지고 연구자가 직접 효과크기를 계산하고, 통계적 유의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크기에 대한 실제적인 중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Data analysis methods in the fields of empirical research have emphasized traditional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This paper suggests that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and effect size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sampling variability of two group(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s shown empirically that there is strongly influenced by sample size. For study is analysed 5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of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published in 2004. All of them were interpreted by statistical significant testing. And many articles did not report the effect size expect only one. It is pointed out that statistical significant testing and effect size measurement serve different purposes. My conclusion is that always provide some effect size estimate when reporting a p value.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