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이용수 139
- 영문명
- Investigations of Local Item Dependence and Estimation Method in the Testlets of the Language tes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서영(Seo-Young Lee) 성태제(Tae-Je S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8권 제2호, 101~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하부검사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언어영역에서 지역의존성을 확인하고 이것이 문항모수 추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적합한 문항모수추정모형을 탐색하였다. 이 때 하부검사 측정모형은 측정의 기본가정인 지역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위 문항 점수를 합산하여 하나의 다분문항으로 간주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언어영역 하부검사에서의 지역의존성이 크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존재하며, 이것이 모수 추정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언어영역 하부검사의 범주에서 서열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 범주의 서열성을 가정하는 일반화부분점수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the degree of local item dependence(LID) within the testlets of language te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D empirically and to investigate a proper measurement model. To measure testlet, it is used testlet scoring which is scoring each testlet as if it were a single polytomous item. LID within testlet was present but the degree of LID was not large. And then, testlets were treat as single polytomous item because of LID. At first nominal response model(NRM) was used to estimate item parameters for unordered response. As ordered categories was verified,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GPCM) was used to estimate item parameters for ordered respons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ID. Intercept parameters and step difficulty were affected by LID, but discrimination parameters were not. If testlet scoring is used to manage LID, GPCM is more proper than NRM to estimate item parameter because testlet has ordered categories and GPCM is for ordered response.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험적 연구에서 유의도 검정과 효과크기의 검토
-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식
- 미국대학의 학생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 Berkeley, Stanford와 Washington 대학을 중심으로
- 교사용 실천지능검사의 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008학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다층자료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층모형의 모수추정 비교 - 2-level HLM, 3-level HLM, CMM 방법의 비교 -
- Estimating Standard Errors for School Passing Rates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언어영역 하부검사(Testlet)의 지역의존성과 모수추정모형의 탐색
- 대규모 평가 자유 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