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안을 동반한 ADHD 아동의 주의・조절력 및 불안감소를 위한 게임놀이치료 단일사례
이용수 3
- 영문명
- Case Study of Game Play Therapy for a Child with ADHD and Comorbid Anxiety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한은주 김윤희 김성현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3호, 69~10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불안을 동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에게 게임 놀이치료가 주의력, 조절력,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단일사례 방식으로 탐색하고 치료 과정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3학년 남아로, 불안 문제를 동반한 ADHD 진단을 받았으며, 2024년 4월부터 2025년 1월까지 총 9개월간 32회기의 게임 놀이치료(아동 40분, 부모 면담 10분)를 주 1회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게임놀이치료는 아동의 주의력 및 조절력 향상과 불안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CCTT 검사에서 간섭 자극 영역의 T점수가 사전 42점에서 사후 58점으로 상승하여 선택적 주의력과 조절력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STROOP 검사에서는 색상 점수가 46점에서 56점으로 증가하여 정서적 안정과 관련된 조절력의 변화를 보였다. KPRC에서 자아탄력성이 45점에서 67점으로 상승하였으며, 불안과 정신증 점수는 각각 60점에서 37점, 43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놀이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소 및 정서적 안정감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게임놀이치료 과정에서 아동의 변화는 단계적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높은 긴장감, 불안, 회피 행동이 관찰되었으나 치료자의 비경쟁적 환경 제공과 신뢰 관계 형성을 통해 점차 완화되었다. 중기 1단계에서는 규칙 이해와 자기표현 시도가 증가하며 정서적 안정이 촉진되었다. 중기 2단계에서는 게임 규칙 숙지, 감정 언어화, 전략 게임 도전 등을 통해 자기조절 및 경쟁 욕구 다루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중기 3단계에서는 과제 지속력, 유연한 대처, 협력적 규칙 제안 등에서 주도성이 두드러졌다. 이어지는 중기 4단계에서는 실패와 실수에 대한 회복력, 자발적 게임 제안 등 자신감이 강화되었다. 종결기에는 정서적 안정과 자기 통제력, 사회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확장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또래 관계 및 가정 내 학습 상황으로 확장되어 아동의 일상생활 적응력 향상에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ame play therapy on attention, regulation, and anxiety reduction in a chil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ccompanied by anxiety, using a single-case model. The study participant was a third-grade boy diagnosed with ADHD and anxiety. He received 32 weekly game play therapy sessions (40 minutes for the child and 10 minutes for the parent) from April 2024 to January 2025. The results showed that game pla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hild's attention and regulation, as well as reducing anxiety. The CCTT test showed an increase in the T-score in the interference stimulus domain from 42 to 58 points, demonstrating improvements in selective attention and regulation. The STROOP test showed an increase in the color score from 46 to 56 points, demonstrating changes in regulation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In the KPRC, ego-resilience increased from 45 to 67 points, while anxiety and psychosis scores decreased from 60 to 37 and 43 poin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game pla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anxiety and restoring emotional stability in children. Changes in the child's behavior emerged in stages during the game play therapy process. Initially, high levels of tension, anxiety, and avoidance behavior were observed, but these gradually eased through the therapist's non-competitive enviro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trusting relationship. In the intermediate stage (stage 1), emotional stability was promoted through increased understanding of rules and attempts at self-expression. In the intermediate stage (stage 2), self-regulation and ability to manage competitive desires improved through familiarization with game rules, emotional verbalization, and strategic game challenges. In the intermediate stage (stage 3), initiative was prominent, with persistence in tasks, flexible coping, and collaborative rule suggestions. In the subsequent intermediate stage (stage 4), confidence was strengthened through resilience to failure and mistakes and spontaneous game suggestions. At the end of the study, positive improvements in emotional stability, self-control, and social interaction were observed, suggesting that these changes extended to peer relationships and learning situations at home,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ability to adapt to daily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 기반의 가사를 활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정신재활시설 이용자의 회복태도와 정신건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의 슈퍼비전 및 피어비전 경험 탐구: 전문성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불안을 동반한 ADHD 아동의 주의・조절력 및 불안감소를 위한 게임놀이치료 단일사례
-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예술치료–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불안을 겪는 부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사례연구
-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 과정에서 warm-up의 심리적 특성과 치료적 메커니즘 및 의의: 체계적 문헌 고찰
- 음악치료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AI 음악 생성기의 기능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