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Non-face-to-face Dance and Movement Therapy on Adolescents’ Self-expression,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조미성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3호, 105~1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K 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18명으로 블랑쉐 이반(Blanche Evan)의 중재 기법과 신체, 인지, 정서, 사회, 통합을 회기의 영역으로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 9명이며 주 2회 80분씩 총 15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비대면의 특성에 맞게 대상자들은 “ZOOM”을 통해 참여하였으며 효과 검증은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의 효과성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을 향상시켜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활용 및 활성화가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mprove self-expression,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n adolescents through non-face-to-face dance and movement 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18 second-year middle school girls in K City. The program, which utilized Blanche Evan's intervention techniques and focused on body, cognition, emotion, social, and integration,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 15 sessions, each lasting 80 minutes, twice a week. Due to the nature of the non-face-to-face program, participants participated via “Zoo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using scales measuring self-expression,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comparing pre- and post-test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dance and movement therapy: It was found that non-face-to-face dance and movement therapy improved adolescents' self-expression,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encourage the use and promotion of non-face-to-face dance and movement therapy in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미성. (2025).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1 (3), 105-125

MLA

조미성.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1.3(2025): 105-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