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치료–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이용수 0
- 영문명
- Art Therapy–Suggestions for a Paradigm Shift to Neuroarts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신학승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3호, 127~1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술치료는 지난 20여년간의 학술적 발전을 넘어 실용적 가치를 검증받는 단계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보다 엄정한 과학적 근거가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예술 경험에 대한 신경과학적 접근은 그간 지적된 예술치료의 비과학적 효능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주목된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는 2025년 춘계학술대회에서 신경미학과 예술심리치료를 주제로 예술치료의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토론의 장을 열었다. 본 연구는 신경과학 기반의 예술치료인 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최근 국제적인 추세를 참고하여 세 가지 방향으로 소개한다. 먼저 ‘변화’에서는 건강에 대한 예술의 기능을 설명한다. ‘선택’에서는 정신병리학과 신경정신분석적 변화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과제’에서는 신경예술의 교육, 연구 및 사업과 관련된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신경예술은 국내에서는 아직 신생분야로 경험적 근거가 적은 한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신경과학의 발전과 함께 향후 지속적인 동반성장이 예상된다. 반면 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적절한 속도 조절과 해외 추세의 국내 적용에 따른 부작용의 인식 또한 요구된다.
영문 초록
Art therapy has gone beyond academic development over the past 20 years and is now entering a phase where its practical efficacy is being verified. Therefor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more rigorous scientific evidence is required, a neuroscientific approach to artistic experience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way to address criticisms that art therapy lacks scientific evidence that has been pointed out in the past. The Korean Art Psychotherapy Association(KAPA) held a discussion forum on the paradigm shift in art therapy, focusing on neuroaesthetics and art therapy, at its 2025 Spring Academic Conference. This study introduces the paradigm shift from art psychotherapy to neuroarts, which is based on neuroscience, in three directions, based on recent international trends. First, “Change” explains the function of art in relation to health. ‘Choices’ introduces psychopathological and neuropsychoanalytical changes for neuroarts. Finally, in ‘Challenge’, practical measures related to the education, research, and business aspects of neuroarts are presented. Neuroarts is still a nascent field in Korea with limited empirical evidence, but it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together in the future alongside advances in neuroscience.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necessary to adjust the pace appropriately for a paradigm shift and recognize the adverse effects of applying overseas trends domestically.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 기반의 가사를 활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정신재활시설 이용자의 회복태도와 정신건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의 슈퍼비전 및 피어비전 경험 탐구: 전문성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불안을 동반한 ADHD 아동의 주의・조절력 및 불안감소를 위한 게임놀이치료 단일사례
-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예술치료–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불안을 겪는 부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사례연구
-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 과정에서 warm-up의 심리적 특성과 치료적 메커니즘 및 의의: 체계적 문헌 고찰
- 음악치료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AI 음악 생성기의 기능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