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 과정에서 warm-up의 심리적 특성과 치료적 메커니즘 및 의의: 체계적 문헌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apeutic Mechanisms, and Implications of Warm-up in Integrated Arts Therapy and Psychotherap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미선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3호, 197~22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의 워밍업 활동에 대한 이론적 개념, 임상적 적용 현황 및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외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최종 선정된 연구를 바탕으로 정량적 및 정성적 분류 및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각 워밍업 활동의 핵심 요소를 식별하고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에서의 워밍업은 단순한 기술적 개입을 넘어 내담자의 치유와 성장을 지원하는 근본적인 치료적 메커니즘으로 기능하였다. 신체/움직임, 음악/리듬, 시각예술, 극/역할 등 다양한 예술적 매체를 통한 워밍업은 내담자의 심리적 방어기제를 완화하고, 비언어적 자기표현을 촉진하며, 치료적 관계 형성의 핵심 촉매제로 작용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워밍업의 핵심 가치는 다차원성에 있었으며, 신경생리학적, 심리학적 시스템에 깊이 작용하는 치유적 개입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워밍업은 심리치료적 기제 및 기능적 의의를 명확히 할 수 있었으며, 치료적 맥락에서의 통합적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warm-up in integrative arts therapy and psychotherap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broad databases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guidelines. We identified and categorized the core elements of various warm-ups according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lassific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urrent findings indicated that warm-ups in integrative arts therapy and psychotherapy function as fundamental therapeutic mechanisms that support clients' healing and growth, going beyond mere technical interventions. Various artistic mediums such as body/movement, music/rhythm, visual arts, and drama/role play were shown to alleviate clients'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s, facilitate non-verbal self-expression, and act as key catalysts in form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core value of warm-up was identified as multidimensionality, understood as healing interventions that deeply affect neuro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ystems. Accordingly, this study clarified the psychotherapeutic mechanisms and functional significance of warm-up,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ir integrated use within therapeutic contex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 기반의 가사를 활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정신재활시설 이용자의 회복태도와 정신건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의 슈퍼비전 및 피어비전 경험 탐구: 전문성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불안을 동반한 ADHD 아동의 주의・조절력 및 불안감소를 위한 게임놀이치료 단일사례
-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예술치료–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불안을 겪는 부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사례연구
-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 과정에서 warm-up의 심리적 특성과 치료적 메커니즘 및 의의: 체계적 문헌 고찰
- 음악치료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AI 음악 생성기의 기능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