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Meta-Analysis of Integrated Arts Therapy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현정 김보경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심리・정서적 건강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5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실험연구 15편을 PRISMA 2020 지침과 PICOS 기준에 따라 선별하고, 무작위효과 모형을 적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33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고, 조절 변인에 따른 효과 크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체 효과 크기인 표준화된 평균차는 0.56으로 나타났으나, 연구 간 이질성이 높아 통계적 유의한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분석에서는 우울, 자아통합감, 삶의 질, 인지기능 등 여러 심리사회적 변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우울과 자아통합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총 11회기 이상으로 진행된 중재와 회기당 50∼60분으로 구성된 중재에서 유의한 효과 크기를 보였다. 퍼널 플롯과 Egger 회귀 검정을 통해 출판 편향 여부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편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종합적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임상 현장의 프로그램 설계와 효과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arts therapy programs in improv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older adults in the context of an aging society. Fifteen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2015 and May 2025 were selected based on PRISMA 2020 guidelines and PICOS criteria. A meta-analysis using a random-effects model was conducted with R statistical software, extracting 33 effect sizes. Subgroup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based on moderating variables. The overall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was 0.56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due to high heterogeneity. Subgroup analyses revealed positive effects on various psychosocial outcomes, particularly for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Interventions consisting of more than 11 sessions or lasting 50–60 minutes per session showed significantly larger effect sizes. No significant publication bias was detected based on funnel plots and Egger’s regression test. These findings provide synthesized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arts therapy for older adults and may inform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clinical settings.
목차
1.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 기반의 가사를 활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정신재활시설 이용자의 회복태도와 정신건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의 슈퍼비전 및 피어비전 경험 탐구: 전문성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불안을 동반한 ADHD 아동의 주의・조절력 및 불안감소를 위한 게임놀이치료 단일사례
-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예술치료–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불안을 겪는 부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사례연구
-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 과정에서 warm-up의 심리적 특성과 치료적 메커니즘 및 의의: 체계적 문헌 고찰
- 음악치료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AI 음악 생성기의 기능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