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슈퍼비전 및 피어비전 경험 탐구: 전문성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rt Therapists’ Experiences of Supervision and Peer-Vision: A Qualitative Inquiry into Professional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남우정 유미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3호, 45~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슈퍼비전 및 피어비전 경험을 탐색하여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필요성과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임상 경력 5년 이상의 미술치료사 7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면담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슈퍼비전에서는 16개 개념과 5개의 주제는 ‘어려움에 직면해서야 슈퍼비전을 받게 됨’, ‘비용에 대한 부담감이 큼’, ‘슈퍼비전을 통해 치료사로서 힘을 얻음’, ‘슈퍼비전에 대한 불신과 실망감’, ‘슈퍼비전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짐’이며, 피어비전에서는 9개 개념과 3개의 주제는 ‘동료 간 소통을 통해 어려움을 해소함’, ‘동료에게 솔직하게 자신의 문제점을 드러내지 못함’, ‘피어비전에 대한 전문적 인식 심화’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사들이 슈퍼비전과 피어비전 과정에서 겪는 현실적 제약과 정서적 반응을 보여주며,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슈퍼비전 비용에 대한 대안 마련, 기관 차원의 그룹 슈퍼비전 지원, 피어비전에 대한 인식 확산, 슈퍼바이저의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현장에서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제도적・관계적 환경 조성의 필요성과 운영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art therapists’ experiences of supervision and peer-vision to identify their practical needs and propose direc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 clinical practic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art therapists with over fiv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analysis revealed five themes related to supervision—delaying supervision until difficulties arise, financial burdens, empowerment through supervision, distrust and disappointment, and increased dependency—and three themes related to peer-vision—relieving challeng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hesitancy to disclose personal limitations, and deepening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peer-vision. These findings illustrate the constraints and emotional dynamics art therapists encounter in supervisory contexts and highlight the need for strategies such as reducing financial barriers, institutional support for group supervision, broader recognition of peer-vision, and strengthening supervisory competence. By drawing on practitioners’ lived experiences, this study offers meaningful insights into creating supportive institutional and relational environments for supervision and peer-vision in art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노인 대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 기반의 가사를 활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정신재활시설 이용자의 회복태도와 정신건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의 슈퍼비전 및 피어비전 경험 탐구: 전문성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불안을 동반한 ADHD 아동의 주의・조절력 및 불안감소를 위한 게임놀이치료 단일사례
- 비대면 무용・동작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예술치료–신경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불안을 겪는 부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사례연구
- 통합예술치료와 심리치료 과정에서 warm-up의 심리적 특성과 치료적 메커니즘 및 의의: 체계적 문헌 고찰
- 음악치료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AI 음악 생성기의 기능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