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극성 장애 가족을 둔 성인자녀의 인지학(Anthroposophie) 기반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Remote Anthroposophic Art Therapy Experience of an Adult Child from a Family Affected by Bipolar Disorder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서하나 김세희 정여주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5호, 1315~134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1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양극성 장애 가족을 둔 성인자녀가 인지학 기반의 비대면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로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은 가족을 돌보는 성인자녀를 선정하여, 2023년 3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120분씩 초기면담 2회, 미술치료 12회기, 후속면담 1회를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체 회기의 녹화 및 녹음 자료, 심층면담, 축어록, 회기별 작품 이미지, 연구참여자의셀프저널, 연구자의 임상기록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는 인지학 기반의 비대면 미술치료 과정에서 안전한사적공간에서의 비대면 치료환경에 순조롭게 적응하였고, 이를 통해 가족 돌봄과 정서적 가장 역할로 인한 만성적 심리적 부담이 신체화와 소진으로 이어진 실존적 딜레마를 직면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둘째, 인지학 미술치료의 심층적 그림 대화를 통한 심상 작업으로 내적감정을 재발견하며 자기인식이 확장되었다. 셋째, 창조적 활동을 통한 내면탐색과 통찰의 순환적 경험으로 과거 경험을 재조명하고 감정통합을 촉진하는 전환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remote anthroposophic art therapy for a female adult child caring for family member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A therapist conducted two initial interviews, 12 weekly art therapy sessions, and one follow-up interview each lasting approximately 120 minutes from March to December 2023.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video and audio recordings, transcripts of all sessions, in-depth interviews, images created during sessions, the participant’s journal, and the researcher’s clinical records.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several key points: First, the participant adapted smoothly to the remote therapy environment within a safe, private space. Throughout this process, the participant confronted and accepted existential dilemmas stemming from the ongoing psychological burdens associated with somatization and burnout due to family caregiving and emotional burden. Second, through in-depth dialogue with the images created during therapy, the participant rediscovered her inner emotions and enhanced her self-awareness. Third, as the participant engaged in a cyclical process of creative activities and inner exploration, the participant reexamined her past experiences, ultimately fostering emotional integ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하나,김세희,정여주. (2025).양극성 장애 가족을 둔 성인자녀의 인지학(Anthroposophie) 기반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2 (5), 1315-1341

MLA

서하나,김세희,정여주. "양극성 장애 가족을 둔 성인자녀의 인지학(Anthroposophie) 기반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2.5(2025): 1315-1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