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애적 성향의 어머니를 둔 예비 미술치료사의 비주얼 저널을 통한 자기돌봄 경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Self-Care Experience of a Prospective Art Therapist with a Narcissistic Mother through Visual Journaling: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윤도아 이지현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5호, 1235~12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1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애적 성향의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심리적 외상을 예비미술치료사인 연구자가 비주얼저널 작업을 통해 자기돌봄을 경험하고 그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이다. 본 연구는2023년 3월부터 2025년 4월까지의 비주얼 저널, 일기, 성찰 기록을 바탕으로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비주얼 저널을 통한 자기돌봄 경험은 <기억의 조각들: 존재의 불안을 품다>, <억압된 감정, 이미지로 깨어나다>, <상처 안에서 나를 다시보다>, <감정과 공존하며 나를 돌보다>의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거짓자기의 자각, 감정의 직면을 통한 자기이해, 감정과 공존하는 일상적 자기돌봄의 의미가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비주얼 저널은 자기돌봄과 정서적 치유의 도구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주얼 저널이 정서적 결핍을 지닌 개인에게 치유적 자원이자 자기서사를 회복하는 도구로 작용하며, 미술치료사뿐만이 아니라 자기돌봄이 필요한 누구에게나 정서적 치유와 자기이해를 촉진하는 매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exploring the self-care experience of a prospective art therapist who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stemming from a relationship with a narcissistic mother. The researcher engaged in visual journaling to practice self-care and examine its meaning. Based on visual journals, diaries, and reflective writings produced between March 2023 and April 2025, the researcher executed the study adopting a narrative inquiry process outlin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s a result, the study identified four thematic narratives , , , and . These narratives revealed key meanings such as the recognition of the false self, enhanced self-understanding through emotional confrontation, and the practice of everyday self-care through emotional coexistenc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visual journaling served as a therapeutic tool for emotional healing and self-reflection. Moreover, the study suggested that visual journaling could support individuals with emotional deprivation in restoring personal narratives and promoting emotional well-being, offering implications for both art therapists and those in need of self-care. Based on these finding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도아,이지현. (2025).자기애적 성향의 어머니를 둔 예비 미술치료사의 비주얼 저널을 통한 자기돌봄 경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 (5), 1235-1261

MLA

윤도아,이지현. "자기애적 성향의 어머니를 둔 예비 미술치료사의 비주얼 저널을 통한 자기돌봄 경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5(2025): 1235-1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