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창조적 우울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과 해석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0
- 영문명
- Auto-Ethnography on Symbolic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Creative Depression of an Art Therapist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세희 전순영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5호, 1291~13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1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겪어온 우울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한 미술작업과 꿈들을 분석하고, 주제를 연결하여 그려낸 그림들과 그 해석을 통해 우울에 내재한 창조적인 힘을 발견하여 내적 갈등을 통합하고 치유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는 우울의 다른 측면과 그 변화과정에 중점을 두어 이를 ‘창조적 우울’로 정의하였고, 본 연구는 그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으로 상세하게 탐구하였다. 또한 분석심리학의 상징해석 관점을 해석 도구로서연구방법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창조적 우울의 경험에 대한 탐구이며, 연구절차는 그림과 꿈 노트 등 수집된 자료에 대한 해석과 그에 대한 반응 그림으로 이루어진다. 연구결과는 창조적 우울에 대한 두 가지 ‘과정’ 과 ‘경험’의 정의로 요약된다. 첫 번째 ‘과정’은 무의식적 미술 표현에 담긴 우울의 의미 해석. 두 번째 ‘경험’은점차 변화되는 상징들로 표현된 꿈과 그림의 교차 분석.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한 논의와 ‘경험에 대한 의미’를 정의하고,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창조적 우울이 개인의 내적인 고통과 그림자를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self-healing process of a researcher through analyzing artworks and dreams during deeply depressed moments and discovered creativity by connecting images in artworks and interpreting them. The study researched depressive experiences through the auto-ethnography method and identified them as ‘creative depression’. This research applied Jung’s symbolic interpretation method as the hermeneutic tool to find and enhance meanings. The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creative depression', and consisted of the interpretation of collected data. The research summarized results into two definitions of ‘process’ and ‘experience’ for ‘creative depression’. The first ‘process’ was the meaning of depression interpretation contained in unconscious art expression. The second ‘experience’ was the cross-analysis of dreams and pictures expressed as gradually changing symbols. Based on those results, ‘the meaning of experience’ represented the therapist's identity, the therapist's ability to create a therapeutic space, and the meaning of sharing and practicing values, respectively. By the results of the study, ‘creative depression’ provided an opportunity to safely express an individual's inner pain and shadow to convert it into a personal image.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연구 제32권 제5호』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외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장기미술치료를 통한 강력범죄피해 외상경험자의 회복과정
- 지적장애 여성의 모성 위기와 모성 정체성 회복 과정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미술치료 박사과정생 3인의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비자살적 자해행동 청소년 미술치료과정에서 미술치료사의 반응미술작업에 관한 경험탐구
- 짝 치료를 병행한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성향의 어머니를 둔 예비 미술치료사의 비주얼 저널을 통한 자기돌봄 경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콜라주 미술치료 경험연구
- 미술치료사의 창조적 우울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과 해석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양극성 장애 가족을 둔 성인자녀의 인지학(Anthroposophie) 기반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장애」와「미술」키워드 기반 국내외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KCI와 Scopus 데이터베이스(2004-2025)를 중심으로
- 프롬프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LLM 기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 해석의 정확도 및 내용 완성도에 관한 탐색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외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장기미술치료를 통한 강력범죄피해 외상경험자의 회복과정
- 지적장애 여성의 모성 위기와 모성 정체성 회복 과정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