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치료 박사과정생 3인의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Color Response Art and Sharing among Three Doctoral Students in Art Therapy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려원 서명랑 윤미애 최선남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5호, 1157~118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1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 박사과정생 3인이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의 경험을 통해 경험한 심리적, 정서적 변화를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인 A, B, C는 연구자이자 참여자로서 2024년1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총 10회의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을 진행하였으며 각자의 색에 대한 반응작업, 글쓰기, 대화 등을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이후 자료를 검토, 분석하여 연구 텍스트를 도출하며 의미를구성하였다. 세 연구자가 경험한 색에 대한 반응작업 후 작품에 대해 나눈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색에 대한 반응작업은 억압된 감정과 과거의 정서를 자연스럽게 환기시켜 내면과 마주하게 하였다. 둘째, 나눔의경험은 화해와 치유의 경험으로 이어져 정서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의 경험은 미술치료 박사과정생 3인이 자기 이해를 심화하고 관계적 역량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연구는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의 경험이 미술치료 박사과정생들의 억압된 감정 환기, 감정의 객관화 및 통합, 그리고 미술치료 박사과정생으로서의 자기 이해와 관계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narratively inquir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ransformations experienced by three doctoral students in art therapy engaging in color response art activities and subsequent sharing. Participants A, B, and C, who took on dual roles as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completed ten sessions involving color response artworks and group sharing from November 2024 to February 2025. Field texts were collected from each participant’s art responses, reflective writings, and dialogues. These tex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o construct research texts and derive meanings. The meanings derived from their sharing experience we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response art evoked suppressed emotions and past feelings, facilitating inner confrontation. Second, their sharing led to reconciliation and emotional healing, enabling emotional integration. Third, the experience of the color response art and shar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epening self-understanding and expanding relational competence among participa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ir color response art and sharing experience could facilitate the release of suppressed emotions, the objectification and integration of emotions, and the enhancement of self-understanding and relational growth. Accordingly, the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려원,서명랑,윤미애,최선남. (2025).미술치료 박사과정생 3인의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 (5), 1157-1183

MLA

김려원,서명랑,윤미애,최선남. "미술치료 박사과정생 3인의 색에 대한 반응작업과 나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5(2025): 1157-1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