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onstruction of the Content Framework for Christian Paren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화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경에 근거한 기독교 부모교육의 개념과 내용체계를 구성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경 본문과 기독교 부모교육 관련 문헌에 나타난 부모를 향한 교훈을 분석하여 핵심 영역과 구체적 내용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 4개의 대영역, 9개의 중영역, 30개의 내용 요소, 112개의 교육내용으로 구성된 체계가도출되었으며, ‘부모 자신의 신앙 성숙’, ‘기독교인 부모의 정체성과 역할’, ‘자녀양육 기술’, ‘신앙공동체 생활’이라는 네 가지 핵심 영역은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독교 부모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교회와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 내용체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ontent framework for Christian parent education based on the Bible and to verify its validity. To achieve this, biblical texts and relevant literature on Christian parent education were analyzed to extract core domains and specific content elements, which were then used to develop a Delphi survey tool.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proposed framework. As a result, a structured content system was established, consisting of four major domains, nine sub-domains, 30 content elements, and 112 educational topics. The four major domains, Spiritual Maturity of the Parent, Identity and Role of the Christian Parent, Parenting Skills, and Life in the Faith Community, were found to be in a close interrelationship. This study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academic identity of Christian parent education and provides a practical content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in church and educational settings.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잠과 관련된 그림책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