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Parents Based on Korean Social Emotional Learning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허유림 최서윤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79~11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소년기는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많은 도전과 변화를 요구하고, 스트레스가 높아져 심리적 어려움이 발생하기 쉽다. 때문에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지만, 아동기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에 비해 그 수가 적고 다채롭지 못하다. 이에 한국형 사회정서교육에기반하여 구조화된 교육과정의 청소년기 학부모 대상 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마음교육의 일환으로 한국형 사회정서교육을 기반으로 한 청소년기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사회정서역량을 증진하고,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안정적인 가정생활과 학교 적응을 돕고자 하는 데 있다.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학부모 10명의 반구조화 인터뷰를 통해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이후, 교육부의 학생용 사회정서교육프로그램을 기초하여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초안을 구성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부모교육 전문가 및 사회정서교육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총 3차에 걸쳐 델파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기인식, 자기관리, 관계인식, 관계관리, 공동체 가치의 인식 및 관리, 정신건강 인식 및 관리의 총 6회기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교육부가 제시한 보편적 마음건강을 위한 예방 교육의필요성을 강조한 점과 학교와 가정 연계를 중점으로 한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학부모 대상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ructured curriculum type of Korean social emotional adolescent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parents raising adolescent children in the form of universal preventive education, thereby enhancing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of students and parents and developing smooth communication skills to help them enjoy healthy home and school life. To develop the program,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selected a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as the theoretical basis. We conducted a needs assessment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parents and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and constructed a draf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we conducted a Delphi survey in three stages for a total of 14 parent education and social emotional learning experts. As a result, the Korean social emotional based adolescent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a total of 6 session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relationship 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community value, and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mental health. This program serves as foundational data to verify post-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iding the stabl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emerging social emotional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유림,최서윤. (2025).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연구, 22 (3), 79-111

MLA

허유림,최서윤.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연구, 22.3(2025): 79-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